해양레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커지고 있고 해양레저산업을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적극 육성하고자 하는 국가적 정책들이 쏟아져 나오는 분위기에서 순수 국내기술만으로 개발되어진 쌍동형 세일링 요트(52ft급)가 본격적으로 양산단계에 접어들게 되었다.
이로써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세일링 요트 산업의 국산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었고 전 세계 조선경기의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형 조선소들에게 고부가가치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활력을 불어넣어주고 있다.
쌍동형 세일링 요트의 기본 컨셉은 바람을 이용하여 항해하는 세일링 요트로써 선형은 Catamaran(쌍동형)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제품의 주요제원은 길이가 52ft(16m), 폭이 8m, Mast(돛대)의 높이만 16.5m, 승선인원 29명에 달하는 대형 Sailing Yacht에 해당한다.
이번 52ft 쌍동형 요트의 진수에 맞추어 부산시의 해양레저장비산업 활성화와 국내 요트산업의 기술발전 성과를 홍보하기 위해 12월 10일(목) 오전10시부터 오후 1시10분까지 해운대 수영만 요트경기장에서 해양레저산업과 관련된 유관기관 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수영만 요트경기장내 계류장→누리마루→오륙도→광안대교→계류장’의 코스로 공개적인 시승식이 개최된다.
시승식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광동FRP산업 홈페이지(
www.grp.co.kr)나 전화(☎051- 831-2266~8)로 문의하면 된다.
본 요트는 부산시 강서구 녹산국가산업단지 내에 소재한 광동FRP산업에서 2006년 하반기부터 10개월 동안 설계에서 건조에 이르기까지 순수 국내기술만으로 시제품을 개발하여 2007년 6월 제주도 서귀포에 요트사업용으로 취항한 이후 지금까지 그 성능과 품질에 대하여 좋은 평가를 받아 2008년 6월에 2차 제품이, 금년 12월 4일에는 웨딩컨셉을 가미하여 한층 업그레이드된 3차선이 진수되기에 이르렀으며 3~4척 정도의 추가물량에 대한 계약협상이 진행되고 있고 해외에서까지 관심을 표명해오고 있다.
아울러 세계시장 진출을 꾸준히 타진한 결과 금년 6월 호주의 유명 세일링 요트 업체인 ‘씨윈드 카타마란’사와 공동으로 ‘32ft 쌍동형 세일링 요트의 공동개발과 년간 20척 이상을 판매계약’을 체결하여 현재 기본디자인과 설계가 마무리 되었으며 내년 7월에는 호주 시드니 보트쇼에 시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요트 제작을 위해 부산시 해양레저장비산업 활성화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는 해양레저장비 인력양성사업 및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요트 품질 향상을 위한 몰드제작 기술 등을 중소조선연구원 해양레저장비개발센터에서 지원하였다.
부산시는 해양레저장비산업활성화를 위하여 금년부터 2012년까지 인력양성사업에 21억, 기술지원사업에 19.7억을 지원, 연구개발을 강화하여 2016년까지 핵심기술을 선진국 수준의 90%까지 끌어올리고, 이와 병행하여 해양레저장비산업단지도 조성할 계획이다.
또한 해양레저장비 보급 확산을 위하여 딩기요트 자가제작교실 운영, 자가제작 보트 경주대회, 해양레저장비 디자인 경진대회 등을 개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많은 시민들에게 해양레저장비를 접할 수 있는 기회제공과 함께 해양레저에 대한 갈증을 해소해 주기도 하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