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19일 “사교육을 받지 않고 EBS 같은 수능강의만으로도 대학을 준비할 수 있고, 학교에서 충분히 전인교육, 인성교육을 받는 풍토가 조성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한국교육방송공사(EBS)를 방문한 자리에서, “EBS 수업을 수능에 70% 연계하겠다는 교육부 발표는 사교육에 노심초사하는 어려운 형편의 사람들에게 EBS가 길을 터주라는 뜻일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김은혜 청와대 대변인은 이번 이 대통령의 EBS 방문은 지난 교육개혁대책회의에서 ‘올해는 교육의 기본을 바로 세우는 해’라고 강조한 직후로, 사교육을 없애는 교육정책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언제까지 학부모들이 학원에 정보 얻으러 다녀야 하고 인터넷 강의 다운로드 안 돼서 학생들이 늦게까지 밤새고 고생해야 하나”라고 지적한 뒤, “사교육을 받을 수 없는 학생들이 EBS방송을 보고 얼마든지 대학에 갈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면, 또 EBS가 그러한 소명의식을 가지면 더욱 흥이 나는 강의를 하지 않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어떤 제도 아래서든 교육을 책임지는 분들, 학교, 교장, 선생님들의 열정만 있으면 좋은 학교를 만들 수 있다”며 “애정을 갖고 전념해 주면 훌륭한 인재를 키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19일 오전 서울 강남구 도곡동 EBS본사를 방문해 학생·학부모·교사들과 간담회를 갖고 교육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 대통령은 과거 경험을 들어 “야간 고등학교라도 가야한다고 이끌어 준 중학교 선생님, 대학에 갈 형편이 안돼 입시를 포기했지만 교재까지 모아주면서 시험을 치르라고 독려해 준 청계천 헌책방 주인 같이 교육에 대한 애정과 열정이 있는 분들이 없었더라면 오늘의 내가 없었을 것”이라며 “어떤 소명의식으로 임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학을 가지 않고도 기술의 장인으로 사회에서 인정받는 인재를 길러내는 것도 필요하다”며, “우리의 마이스터교는 3년 간 등록금을 면제해 기업과 연계한 수업과 취업으로 특정 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고 직장에 다니다가도 대학에 정원 외로 들어갈 수 있는 길이 열려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가난한 학생들이 교육받는데 불이익을 당하지 않게 하는 것, 사교육비를 줄여서 누구나 교육을 받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는 것, 소위 ‘교육복지’라고 할 수 있다”며 “가난의 대물림을 끊고 가난에서 벗어날 교육의 기회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토론에 참석한 한 학생이 “EBS 인터넷 강의를 듣는데 서버제한으로 기술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말하자, “신속하고 충실한 서비스를 위해서 보완할 것은 신속하게 보완해 학생들과 학교 측이 불편함이 없도록 해 달라 ”고 EBS측에 당부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