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도 일원의 사격훈련 재개를 앞두고 남과 북의 군사적 충돌 위험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북한군은 17일 우리 군이 연평도에서 사격훈련을 강행할 경우 '자위적 타격'을 가하겠다고 위협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북한 인민군은 이날 남북장성급회담 북측단장 명의의 통지문에서 "괴뢰 군부 호전광들은 연평도에서 계획하고 있는 해상사격을 즉각 중지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면서 "연평도 포사격을 강행할 경우 우리 공화국 영해를 고수하기 위해 2차, 3차의 예상할 수 없는 자위적 타격이 가해질 것"이라고 발표했다.
북측은 "그 화력의 강도와 포괄 범위는 지난 11월23일 보다 더 심각한 상황을 재현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중앙통신은 이런 내용의 통지문이 17일 오후 12시20분 남측에 전달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이날 오후 "조선중앙통신이 여러내용을 밝히고 있다"면서 "유사한 내용으로 12시 20분에 전통문을 받았다"고 확인했다.
국방부는 그러나 "북한의 협박과 억지주장에 대해 일일이 대응할 가치가 없다고 판단해 답신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국방부는 "어제 훈련계획을 공개적으로 밝혔고 국립해양조사원에 항행경보 게시했다"며 "우리 훈련은 기상조건이 허락되면 예고 날짜에 정상적으로 훈련 실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북측의 반응에) 답신하고 대응하는게 북측의 계략에 말릴 수 있기 때문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기로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통문을 공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전통문 내용을 밝히는게 혼란을 조성하려는 북한의 계략에 넘어갈 수 있기 때문"이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이에 앞서, 우리 합동참모본부는 18일에서 21일 사이에 하루를 정해 사격연습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합참은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에 공시한 연평도 사격관련 항행경보 내용에 18일부터 21일까지 나흘간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5시까지가 사격시간으로 설정돼 있다.
군은 이 가운데 기상상황 등의 여건을 고려해 하루를 택한 뒤 반나절 가량 사격훈련을 실시할 방침이다.
훈련 구역은 북방한계선 NLL 이남 해역으로 연평도 서남쪽 가로 40km,세로 20 km 정도의 구간이다.
군은 연평도에 배치된 K-9 자주포와 105mm 견인포,벌컨포,박격포를 투입해 이 일대에서 강도높은 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훈련에는 군사정전위원회와 유엔사 회원국 대표들이 참관하고 주한미군 20여명이 투입돼 통신과 교신,의료 지원 임무를 맡는다.
군 당국은 17일 훈련이 실시될 가능성에 대비해 16일부터 연평도 현지 주민들을 배편을 이용해 철수시키고 잔류하는 주민은 방공호로 대피시켰다.
군 당국은 이번 훈련이 서북도서 방어를 위해 오래전부터 실시해온 정당한 훈련인 만큼 북한이 추가 도발을 해올 경우 단호하고 강력하게 응징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