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면서 지배구조에 큰 변화를 맞게 됐다.이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삼성과 현대·기아차 등 주요 대그룹의 지주회사 전환 향배와 여타 기업들의 지배구조 변화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그룹의 중추 회사인 SK㈜는 11일 이사회를 열어 7월 1일자로 회사를 지주회사(가칭 SK홀딩스)와 사업 자회사(SK에너지화학)로 분할, 그룹을 지주회사 체제로 바꾸기로 결정했다.SK㈜는 앞으로 지주회사 행위제한요건 충족 기한인 2009년 6월까지 기존의 복잡한 출자구조를 해소하고 지주회사가 SK에너지화학, SK텔레콤, SK네트웍스, SK E&S, SKC, SK해운, K-POWER 등 7개 주요 사업 자회사를 거느리는 수직 출자구조로 단순화된다. 또 이들 자회사는 각기 사업분야가 유사한 SK인천정유, 대한송유관공사, 텔링크, 텔레시스, SK가스 등 27개 회사 주식을 각각 나눠 보유하면서 이들 회사를 손자회사로 두게 된다.그러나 최태원 SK㈜ 회장의 사촌 동생인 최창원 SK케미칼 부회장이 대주주로 있는 SK케미칼과, 이 회사가 지배하고 있는 SK건설은 수직 출자구조에서 배제됐다.이는 SK그룹의 사촌 형제간 지분 정리와 계열사 나눠맡기 구도가 그동안 예상돼왔던 대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받아들여지며, 앞으로도 이 같은 흐름은 가속화할 것으로 점쳐진다.SK㈜는 “복잡한 지배구조를 단순화해 회사 가치와 주주 가치를 끌어올리라는 주주들의 요구, 경영효율성 증대, 지배구조의 획기적 진보 등을 위해 이처럼 결정했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