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단체 “친환경 조성” , 상인 “상권 죽는다”
진주시가 진행 중인 남강 종합개발사업과 관련해 남강둔치 내 주차장을 철거하고 주차장 부지를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환경단체와 상인들의 갑론을박이 뜨겁다.
21일 진주시에 따르면 현재 관내 남강둔치 내 주차장은 진주교주차장, 천수교주차장, 남강주차장(경남문화예술회관 앞) 등 모두 1만7600㎡ 부지에 461면의 주차공간을 갖추고 있다.
이에 환경단체들은 각종 오염발생과 함께 친자역적인 친수공간 남강의 모습과는 어울리지 않는다며 주차장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반면 주차장 인근 상인들은 생존권이 걸린 문제라고 반발하고 있고, 진주시도 주차장을 대체할 공간이 없는 상황이라 난감한 입장을 표하고 있다.
(사)경남환경운동실천협의회(대표 박진상)는 이날 오전 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남강변 주차장들이 자전거를 타거나 산책을 하는 시민들의 발길을 돌려 막고 있고, 친자연적인 남강의 모습에도 어울리지 않는다”면서 “대기오염, 수질오염 문제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의 소비를 억제하고자 노력하는 기후 변화협약에도 반하는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또 이들은 현재 진행 중인 진주시의 ‘남강 종합개발사업’에 대해 “인간에게 편리하도록 하는 개발계획이 아니라 보다 친환경적이고 자연과 인간이 함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개발계획이 되길 고대한다”면서 “이를 통해 대중교통과 자전거 타기 운동이 더욱 활성화되는 한편 친환경적인 삶, 녹색도시에 대한 시민의식 변화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그러나 “인근 사설 유료주차장 활용도 일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환경단체의 주장과는 달리, 주차장 인근 예식장, 식당, 숙박시설 등 상인들은 “현재 주말이면 남강변 인근 도로는 상습으로 주차공간 부족 등으로 교통체증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데, 주차장마저 철거해버리면 주차난이 더욱 가중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며 반발하고 있다.
특히 한 식당 운영자는 “이를 대처할 주차공간도 찾지 않은 상황에서 환경 우선적인 논리만 따져 철거하게 되면 주변 상권은 그냥 죽어라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진주시 관계자는 “남강 종합개발사업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친환경적인 부문을 당연히 중요시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남강변 주차공간에 대한 대안이 없는 상황”이라면서 “남강둔치 내 주차장은 하루 평균 400대 이상의 차량이 이용하고 있다.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슬기로운 대안을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