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호텔 화재 유가족, 경기도·국가 상대로 손배소…“소방 대응 부실, 국가 책임 있다”
지난해 8월 7명이 숨진 부천 호텔 화재 참사의 유가족들이 경기도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소송에는 숨진 5명의 유족 16명이 참여했으며, 피고는 호텔 관계자 4명, 경기도, 국가다.유족 측은 소방의 대응 미흡으로 인명 피해가 커졌다며, 경기도가 소방의 지휘·감독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특히 고가사다리차를 ...
울산동구치매안심센터, 치매안심가맹점 4개소 추가 지정
동구청제공[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치매안심센터(센터장 박수환)는 치매 환자와 가족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을 위해 관내 치매 안심 가맹점 4개소를 추가 지정했다. 치매 안심 가맹점은 약국, 미용실, 카페 등 지역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업소로, 종사자 대상 치매 파트너 교육을 통해 치매에 대한 이해와 ...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는 '11.9월 전국 지가는 전월 대비 0.09% 상승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밝혔다.
현재 지가는 금융위기 발생전 고점('08.10월)에 비해서는 1.35% 낮은 수준이다.(그림참조)
* 월별 지가변동률(%) 
| 구분 | 전국 | 수도권 | 서울 | 인천 | 경기 | 지방 |
| '11.9월지변율 | 0.09 | 0.09 | 0.05 | 0.05 | 0.13 | 0.11 |
| 고점대비('08.10) | -1.35 | -2.08 | -3.73 | -0.32 | -0.78 | -0.05 |
토지거래량은 총 180,860필지, 146,710천㎡로서 전년동월과 비교하여 필지수 기준 24.6% 증가, 면적 기준 1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동월 평균 거래량(188천필지)대비 3.6% 낮은 수준
《 '11.9월 지가변동률(전월비 기준) 》
지역별로는 서울 0.05%, 인천 0.05%, 경기 0.13%이며, 지방은 0.05 ~ 0.22%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역별 지가변동률(%) 
경남 창원시 의창구, 성산구 등이 전국 평균 지가변동률(0.09%) 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상승률 상위 5개 지역
| 순위 | 행정구역명 | 변동률(%) | 상승이유 |
| 1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 0.57 | 창원시 통합효과, 공동주택 가격상승에 따른 수요증가, 창원KTX개통, 계절적인 영향에 따른 주택수요 증가 등의 영향 |
| 2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 0.51 | 통합에 따른 주거수요의 변화가 아파트가격 급등 및 단독주택 수요에도 영향을 미쳐 주거용지의 가격이 급등하는 추세로 지가에 영향 |
| 3 | 경기도 하남시 | 0.46 | 미사지구의 보금자리주택개발 진행, 감북동의 제4차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 현안사업2지구 복합쇼핑센터 개발 등 각종 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기대감 |
| 4 | 강원도 평창군 | 0.41 | 동계올림픽개최지 확정, 올림픽특구 지정 및 특별법 제정추진, 복선전철 등 인프라구축에 따른 지역개발의 기대감 |
| 5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 0.37 | 창원, 마산으로 한정돼 있던 부동산 거래범위가 통합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평가 되어 있던 진해지역으로 확산 및 재정적지원 예상 등 지가의 꾸준한 상승에 대한 기대감 |
용도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은 녹지지역(0.14%), 비도시지역은 계획관리지역(0.14%)등의 상승폭이 소폭 하락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전월과 비슷
지목별로는 전(0.15%), 답(0.14%)의 상승폭이 소폭 감소하였으나 전체적으로는 전월과 비슷
《 ’11. 9월 토지거래량(전년동월비 기준) 》
’11. 9월 토지거래량은 총 180,860필지, 146,710천㎡로서 전년도 동월과 비교하여 ① 필지수 24.6% 증가, ② 면적 16.6% 증가
* 전월(’11.8월)대비 필지수 7.7% 감소, 면적 15.1% 감소
토지거래량은 전년도 동월(’10.9월) 대비 24.6% 증가한 수준이며, 최근 5년간 동월평균거래량(188천필지)보다 3.6% 낮은 수준
* 월별 토지거래량 및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필지수 기준) 
용도지역별로는 상업지역(41.3%), 개발제한구역(31.2%), 주거지역(25.9%)의 거래량이 증가하였고, 이용상황(지목)별로는 공장(55.6%), 대지(27.5%)의 거래량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