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농업기술원(원장 최복경)이 최근 이상기온으로 예년에 비해 높은 기온이 계속 이어지고 있지만, 곧 날씨가 추워질 것으로 전망하고 수확이 끝난 과수원에 대한 관리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농가에 당부했다.
병해충 방제의 경우 여름철에만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과실의 수확 후 또는 동절기 병해충 방재작업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땅심 높이기와 가지 전정작업은 물론, 기계유유제 및 석회유황합제 준비도 내년 농사를 위해 반드시 해야 하는 일인 만큼 과수농가가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이라고 농업기술원은 강조했다.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겨울철 과수원의 약제처리 효과는 반점낙엽병의 경우 약제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 12.3%가 발생하는 반면, 약제처리를 했을 경우는 7.1%로 낮아지며, 배와 복숭아나무에 발생하는 응애류도 기계유유제 살포로 거의 방제가 가능하다고 말해 내년 농사를 위한 겨울철 약제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단감나무에 많이 발생하는 둥근무늬낙엽병 등 곰팡이성병 피해를 입었던 나무의 낙엽이나 피해가지는 병원균 포자가 남아서 월동 후 다른 나무로 옮겨질 수 있기 때문에 한데 모아서 태워야 한다.
기계유 유제와 석회유황합제는 날씨가 추워지기 전인 요즘 미리 준비해 두었다가 기계유유제는 내년 2월 중하순에, 석회유황합제는 2월 하순에서 3월 상순경에 각각 살포시기에 맞추어 처리하도록 했다.
수확이 끝난 과수원의 땅심높이기 작업은 이듬해 생산될 과실의 수량과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내년 과수농사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땅이 완전히 얼기 전에 깊이갈이와 과종별 전용복비, 퇴비, 석회 등을 토질여건에 따라 적절히 살포해서 지력(地力)을 향상 시키도록 했다.
농업기술원 관계자는 “수확이 끝나고 본격적인 겨울 추위가 오기 전에 월동대책을 어떻게 수립하고 실천하느냐에 따라 이듬해 과수농사의 성패가 결정된다”면서, “농가별 과수 월동대책 수립과 실천에 만전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