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년 하반기 준공, 신규 일자리 창출 기대 -
김치종주국가로서의 위상제고와 김치 세계화를 선도하게 될 세계김치연구소 건립사업이 내년 하반기 준공을 앞두고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 졌다.
광주시에 따르면 실시설계분에 대한 본 공사 계약 체결이 완료되어 현재 바닥 골조공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밝히면서, 현재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김치연구소가 내년 말 준공과 함께 광주시로 이전하게 되면 신규 일자리 창출에 대한 기대와 함께 침체일로에 있는 지역 김치산업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세계김치연구소 건립계획은 지난 2009년 정부의 김치세계화 및 과학화 일환으로 농식품부가 전국 공모를 통해 추진된 것으로, 광주시가 남도김치의 우수성과 김치타운을 비롯한 김치관련 인프라 우위를 내세워 타 지자체와의 경쟁을 통해 유치에 성공한 사례이다.
현재, 세계 발효식품시장은 120조원 규모에 이르러 이를 선점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이 치열한 상태이며, 중국 식품발효공업연구소와 일본 식품종합연구소 등과 같이 대개의 나라들이 국가 주도로 식품관련 종합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 추세이다.
세계김치연구소 역시 향후 5년 이내에 세계적인 발효식품종합연구소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으며 김치를 비롯한 장류, 젓갈 등 각종 발효식품의 연구는 물론, 유용발효균을 활용한 건강기능성 식품, 향장, 의약품 개발 등 헬스케어 소재산업으로 연구범위를 확대하고 연구원 규모를 최대 200여명 수준까지 늘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신규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광주시 관계자는 현재, 국내 김치시장 규모가 세계 절임류 시장의 2% 수준인 2조 2천억원 규모에 불과하다고 전제한 뒤 국내 김치시장의 외형 확대를 비롯한 발효산업의 신성장 동력산업화를 위해 세계김치연구소 일대에 대하여「전통발효식품 클러스터」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계김치연구소 현황>
○ 설립형태 :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 조 직 : 3본부(r&d, 세계화전략, 경영지원)
2실(기획조정, 행정관리)
○ 인 원 : 25명(연구인력 18 행정지원 7)
- 2015년 까지 200명 수준으로 확대계획
○ 주요연혁
- ‘08.10.14 : 세계 최고수준의 김치연구기관 육성 지시(대통령)
- ‘09.07.15 : 세계김치연구소 입지선정(남구 임암동)
- ‘10.01.01 :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설립
- ‘10.05 ~ : 김치연구소 청사건립사업 추진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