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중근무제로 업무는‘더 밀도있게’근무복장과 출퇴근시간은‘보다 자유롭게’ -
○ 대전시설관리공단이 획일적인 근무형태와 관행에서 벗어난‘유연근무제’를 도입해 운영한다고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 대전시설관리공단(이사장 서문범)은 30일 업무생산성 향상과 직원들의 사기진작을 위해 유연근무제를 도입, 내년 1월부터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 공단은 기존의 단순한 업무시간(업무량)관리 체제에서‘집중근무제’와‘시차출퇴근제’등 성과중심으로 근무체제로 전환하는 한편 직원들의 유연하고 창의적 사고를 위한‘유연복장제’를 도입해 근무방법과 시간, 복장에 변화를 꾀하기로 했다.
○‘집중근무제’는 근무시간 중 오전 10시부터 오전 11시 30분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를 핵심시간으로 지정해 전화나 회의, 출장, 민원인 접견 등을 지양하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업무시간의 낭비요인을 줄여 밀도 있는 업무수행으로 생산성을 높이려는 것이다.
○ 또‘시차출퇴근제’는 1일 법정 근무시간인 8시간 근무체제의 유지하에 육아나 간병 등의 사유가 있는 경우 정규 출근시간인 오전 9시보다 한 시간 늦은 10시에 출근할 수 있도록 직원들에게 자율권을 부여해 일과 가정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 공단은 근무체제 전환으로 인한 업무공백을 막기 위해 대체근무자 지정 등 대행체제를 확립하고 긴급 업무처리에 대비해 소속직원들의 비상연락망을 상시 정비 유지하여 대민서비스와 관계기관과의 협조체제유지에 차질이 없도록 시행할 방침이다.
○ 연중 자유롭고 편안한 복장으로 근무하는‘유연근무복장제’는 직원들의 유연하고 창의적인 사고의 진작과 함께 냉난방 등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공단의 이 같은 새롭고 다양한 시도에 직원들은 크게 환영하는 분위기다. 집중근무제를 시행하면 적어도 지정된 시간동안은 다른 일에 시간을 빼앗기지 않고 고유 업무에 몰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업무효율이 높아지고 불필요한 야근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 서문범 공단 이사장은“공기업이 민간 기업에 비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인식을 불식시키기 위해 내년부터 시행되는 유연근무제를 실효성 있게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며“내부고객인 직원들에게 만족스러운 직장 환경 조성으로 업무생산성을 높여 고객만족이라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