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와 가까운 해남군 화원면에 화력발전소 건립 유치가 추진되고 있다.
사업주체인 MPC코리아 홀딩스는 당초 경북 포항에 추진하려던 화력발전소 건립 계획기 해당 지역주민들과 시의회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무산되자 후보지를 해남군으로 변경했다.
MPC측은 해남군 화원면 200만㎡(약 60만평) 부지에 7조6000억원을 투자해 오는 2017년말까지 5000MW규모의 유연탄 및 LNG 복합화력발전소를 건립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해남군과 MPC측은 ‘복합화력발전소 건설에 연인원 30만 여명이 투입되며, 발전소 가동 인력 500여명과 협력업체 1000여명 등 1500여명의 고용창출과 함께 연간 190억원의 세수가 발생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사업을 반대하는 측은 ‘화력발전소가 건립될 경우 공유수면 매립과 온·배수 배출로 연안 어장의 생태계가 파괴되고, 송전철탑으로 인한 소음공해와 전자자 피해 등을 우려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반대측은 해남군과 MPC측이 이 사업을 추진하면서 ‘민주적 절차를 무시하고 있다’고 반발하고 있다.
그 근거로 이장단의 찬·반투표 무산되고 주민간담회를 통한 의견수렴 이실패하고 MPC측의 주민설명회 가무산 되어환경문제에 대한 전문기관의 환경영향평가 등이 전혀 없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더군다나 화력발전소가 완공돼 가동되면 매일 3000만톤의 온·배수를 바다로 배출하게 되고, 그 영향이 인근 진도군, 신안군, 목포시까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해남 화원면에 들어설 화력발전소는 진도군의 수산업 발전을 저해할 수 있고, 군내면 등 인근 지역에 보상 등 직·간접적 혜택 없이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진도군, 진도군의회, 지역사회단체들은 현재 벌어지고 있는 사태를 남의 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화력발전소가 진도군의 미래에 미칠 영향을 객관적으로 따져봐야하고 우리군에 도움이되지않은 사업이라고 판단된다면 피해를 사전에 에방하는 차원에서 반대입장을천명해야만할것이고 계획대로라면 화력발전소는 2013년 6월에 착공하게된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