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주지역 등록차량 1600여대…주차장은 200여면 불과
화물차량 전용 주차장이 턱없이 부족해 갈 곳을 잃은 화물차들이 도로변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 때문에 진주 곳곳의 도로변은 물론 주택가 이면도로까지 주·정차된 대형 화물차로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데다 도시 미관마저 해치고 있다.
게다가 현재 조성중인 정촌·사봉 등 산업단지와 혁신도시 건설이 완료되면 앞으로 지역 내 물류유통량이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7일 진주시에 따르면 현재 진주지역에 영업용으로 등록된 화물차량은 1600여대. 그러나 지역 내 화물차 주차시설은 8개 운수업체 조합이 운영하는 200여면 규모의 진주화물터미널이 유일하다.
진주시 상대동에 위치한 진주화물터미널에는 트레일러를 포함해 탑차, 윙바디, 카고와 크레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화물차들이 들어차 있다. 그러나 진주화물터미널도 진주를 거점으로 하는 화물차량들을 다 수용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화물터미널 관계자에 따르면 하루평균 300여대의 화물차가 드나들고 주말이면 400~500여대의 화물차가 몰려들다 보니 주차면은 언제나 부족하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외지에서 화물을 실어오는 차량들은 주차료를 낸다고 해도 들어오기가 만만치 않다.
그나마 운수업체에 소속돼 화물터미널을 이용하는 차량은 상황이 나은 편이다.
개인이 등록하는 차량(4.5t 이상)은 규정에 따라 전용 차고지를 개설해야 등록이 가능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차고지 주차가 어렵다는 것이 운수업계의 하소연이다.
한 화물차주는 “시 외곽지역이나 차고지로 사용 가능한 땅을 빌려 화물차 등록을 하지만 실제로 그 차고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드물다”며 “숙식을 해결하기도 힘들거니와 움직이는게 돈인 화물차를 외곽으로 몰고 나가는 것을 꺼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한 화물차주는 “주차비 대신 벌금을 낸다는 심정으로 도로변에 주차하기도 한다”며 “1년 동안 차고지외 밤샘주차 단속에 적발돼 내는 벌금이나 1년 주차비용이나 비슷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주차공간 부족으로 대형 화물차량의 도로변 주·정차가 계속되자 진주시에서도 대책마련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3월 지역 화물업계와 간담회를 통해 공영차고지의 필요성을 절감한 진주시는 호탄동 경남정보고등학교 인근 약 5만㎡부지에 종합교통센터를 설립하고 센터내에 화물자동차 공영차고지를 건설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진주시에 따르면 지난해 타당성 조사 용역을 마치고 올해에는 실시 설계 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
진주시 관계자는 “종합교통센터가 설립 되면 서부경남 물류 중심인 진주권을 찾는 화물차들의 물동량을 파악할 수 있다”며 “정보교환을 통해 공차로 운행하는 빈도를 최대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특히 부족한 화물차 주차공간 확보로 시민들과 운송업자들의 불편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