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진주박물관(관장 진화수)은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유물 120점을 대여해 특별전 ‘왕실의 보물’을 연다.
13일부터 5월 20일까지 열리는 이번 전시는 조선왕실을 통해 전승돼 온 왕실의 보물들이 소개되는 자리로 격조 높고 화려한 왕실 문화에 담겨 있는 우리 민족문화의 정수를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전시자료는 앙부일구(仰釜日晷·보물 제845호), 은입사 도깨비무늬 쇠몽둥이(銀入絲鬼面文鐵槌·보물 제1444호) 등 국가지정문화재 2점을 비롯해, 태조금보 및 옥책, 영조가 정조에게 내려준 ‘효손은인’, 경회루에서 발견된 청동용, 조선시대 관청에서 사용했던 각종 도장, 종묘대제에서 사용했던 제기 등이다. 이들 유물을 통하여 조선왕조를 통치했던 조선왕실의 다양한 모습과 이야기를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이번 특별전은 ‘왕과 국가’ ‘국가의례’ ‘조선의 궁궐’ ‘조선의 관청과 관원’ ‘천문학의 발달’ 등 모두 5개의 주제로 구성된다.
국립진주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에서는 앙부일구, 은입사 도깨비무늬 쇠몽둥이 등 국가지정문화재 2점과 교과서를 통해 학생 및 일반 시민들에게도 친숙한 혼천의, 마패 등의 유물이 전시된다”며 “종묘대제에서 실제 사용되었던 각종 제기를 통해 엄격하면서도 화려하게 치러진 왕실 제사의 진면목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경회루 연못 출토 청동용=1997년 11월 경회루 연못 준설작업 도중에 출토된 것이다. 경회루의 건축 원리를 설명하고 있는‘경회루전도’에 의하면 경회루의 화재방지를 위해 청동으로 만든 용 두 마리를 연못에 넣었다고 한다. 이 용은 그중 하나로, 기록으로만 전해졌던 것이 실제 발견된 예에 속한다.
▲앙부일구(보물 제845호)=‘솥 모양의 해시계’라는 뜻으로, 세종대에 처음 발명됐다. 이번에 소개되는 유물은 18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그림자를 받는 시반과 그림자를 나타내는 바늘인 영침으로 이뤄졌다. 시반에는 은입사로 시각선을 그렸고 영침은 북극을 향해 비스듬히 세워져 있다. 왼편에는 동지부터 하지(겨울→여름), 오른편에는 하지부터 동지(여름→겨울)까지 24절기가 13줄의 가로선으로 그려져 있다.
▲은입사도깨비모양쇠몽둥이(보물 제1444호)= 19세기 의장용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쇠몽둥이이다. 둥근 철퇴부 좌우에 도깨비무늬를 은으로 입사하였다. 도깨비 무늬는 각종 재앙과 질병 그리고 사악한 모든 것들을 막아내는 초자연적인 존재를 나타낸 것이다. 감입한 은사의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입사무늬 역시 비교적 정교하여 제작기술이 우수하며, 희귀성 또한 인정되어 보물로 지정됐다.
▲태조금보=1683년(숙종 9) 조선왕조의 창업자 태조에게 ‘정의광덕’이라는 시호를 추가로 올리면서 만든 어보이다. 어보의 인면에는 ‘강헌 지인계운 성문신무 정의광덕 대왕지보’라고 새겼다. ‘강헌’은 명나라로부터 받은 시호이고, ‘지인계운’과 ‘성문신무’는 1408년(태종 8) 에 올린 존호와 시호이다.
▲효손은인·유세손서=1776년(영조 52) 영조의 나이 83세에 왕세손이던 정조에게 내린 은인과 유서이다.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과 관련,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정조의 효심에 영조가 감동하여 만들게 되었다. 정조는 조회나 거둥 때면 늘 이 은인과 유서를 앞세웠다고 한다. 도장의 인면에는 영조가 친필로 쓴 ‘효손 팔십삼서”가 새겨져 있다. ’유세손서’에는 정조의 효성을 만세토록 전하길 바라는 마음과 후계자에 대한 믿음을 적었다.
▲각종 제기=이번 특별전에는 종묘대제에서 사용되었던 각종 제기가 전시된다. 봄과 여름, 가을과 겨울 등 계절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는 계이, 조이, 가이, 황이와 희준, 상준 등의 술동이 및 용의 이미지가 표현된 용준, 용찬, 용작 등의 각종 제기는 화려하면서도 엄격하게 치러진 조선 왕실 제사의 진수를 보여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