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이 1주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가로림만 조력발전소가 서산·태안지역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3일 서산시와 태안군 등에 따르면,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립 문제가 4.11총선의 판세를 뒤흔들 주요 정치쟁점으로 급부상하면서 찬반 양측 모두는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박정섭 가로림만조력발전소건설반대투쟁위원회 위원장은 “2007년도 국토해양부 환경가치평가 연구용역에서 가로림만의 연간 가치는 ㏊당 3919만원으로 전국 1위로 조사됐다.”며 “새만금과 시화호의 실패를 교훈삼아 어민들의 소중한 생활터전인 가로림만을 후손들에게 온전하게 물려줘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김진묵 가로림만조력발전소서산·태안보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외부인들이 중심이 된 환경단체와 시민단체 등이 순박한 지역어민들을 선동해 조력발전소 건설을 반대하는 의견이 주민다수의 의견인 것처럼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며 “환경부는 지난해 6월 접수된 환경영향평가서 본안을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서산·태안지역에서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립을 둘러싸고 찬반 양측의 의견이 맞서고 있는 가운데 정부부처 간에도 의견이 나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난달 환경부 주관으로 열린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환경영향평가 자문회의에서는 ‘자문회의 무용론’이 제기되면서 “다소 미흡하더라도 환경영향평가를 이쯤에서 마무리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이렇게 환경부의 환경영양평가서에 대한 의견이 제시되면 지식경제부는 전원개발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수순을 밟게 된다.
이에 반해 농림수산식품부와 국토해양부는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립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해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립 예정부지 인근에 30여억원을 투입해 참굴 양식장을 조성했다.
국토해양부 역시 가로림만의 보존가치에 비해 조력발전의 경제가치 떨어진다는 의견이다. 1조원가량을 투입해 조력발전소를 건설하더라도 발전용량이 520㎿로 태안화력발전소의 1기(500㎿) 용량에 불과하다는 분석 때문이다.
이처럼 서산·태안지역에서 가로림만 조력발전소 건립을 둘러싸고 찬반 양측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는 가운데 찬성측은 3일 현재 서산시청 앞에서 161일째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고 반대측은 2일 태안군청에서 성명서를 발표하고 4일 대규모 집회를 가질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