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폐암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4일 흡연이 주요 원인인 폐암, 만성폐색성폐질환(COPD), 폐쇄성 혈전 혈관염에 대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최근 5년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폐암 환자는 2006년4만 3천명에서 2010년 5만5천명으로 약 1만2천명(연평균 증가율 6.4%) 늘었다.
매년 평균 4만8천명이 폐암에 따른 진료를 받았으며 이들이 5년간 지불한 진료비 총액은 1조5천억원에 달한다.
복지부는 "전체 암의 약 30%가 흡연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특히 폐암은 약 90%가 흡연 때문에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폐암환자 5만5천명 가운데 남성은 69.4%로 여성(30.6%)보다 2.3배 많았으며, 60세 이상이 74.1%(4만명)를 차지했다.
폐 기능을 떨어뜨리고, 만성적인 기침과 호흡곤란을 유발하는 만성폐색성폐질환(COPD) 환자도 매년 평균 약 63만 명으로, 최근 5년간 이들의 진료비 총액은 약 4,900억 원이었다.
흡연은 폐활량을 감소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정상 폐 조직을 파괴하는 등 COPD의 가장 주요한 발생 원인이다.
따라서 COPD 예방과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바로 금연이다. 흡연으로 파괴된 폐 조직은 다시 회복될 수 없으므로, 기도 폐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기에 금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10년 기준으로 '하루 평균 흡연량'은 남자는 16.2개비, 여자는 9.1개비다.
남자의 경우 1년에 약 296갑을 피우며, 담뱃값으로 약 74만 원을 지출하는 셈이다.
복지부는 "우리나라 15세 이상 남성 인구 흡연율은 44.3%로, 2009년 OECD 회원국 평균 흡연율 27.5%보다 월등하게 높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2010년 기준 우리나라 청소년(중1~고3)의 26.0%는 '흡연 경험'이 있으며, 최근 30일 동안 하루 이상 흡연한 사람의 분율인 현재 흡연율은 12.1%(남학생 16.6%, 여학생 7.1%)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