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적으로 2위 기록… 수도권 인접‧각종 지원 정책 한몫 -
지난해 충북지역으로의 귀농·귀촌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수도권과의 인접과 함께 충북도와 일선 시·군의 튼튼한 각종 지원 정책 때문으로 보인다.
20일 충북도에 따르면 충북도가 지난해 귀농·귀촌 실태를 조사 결과 전년인 지난 2011년 3888가구(6761명)보다 1374가구(35%)가 증가한 5262가구(8945명)가 충북으로 이주했다.
이는 경기도(8499가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이다.
세 번째로 많은 강원도(2846가구)보다는 2배 가까이 많다.
웰빙바람이 불기 시작한 지난 2008년 충북으로의 귀농·귀촌은 167가구(382명)에 불과했다.
이후 2009년 219가구(419명), 2010년 272가구(648명) 등 좁은 증가폭을 보이다 2011년 3888가구로 급증했다.
지난해 이주를 유형별로 보면 귀농이 1216가구(2180명), 귀촌은 4046가구(6765명) 등이고 연령대 별로는 50대(31%)와 40대(22%) 순으로 많다.
시·군별로는 영동군(850가구)과 진천군(745가구)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충북도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와 더불어 수도권지역에 인접한 지리적 여건, 진천‧음성 등 기업체 주변지역 및 비교적 저렴한 지가가 이들을 유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귀농·귀촌인의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지원 추진체계 구축, 정보관리 및 서비스 제공, 정착 지원사업 확대, 체험 프로그램 내실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귀농·귀촌 활성화 종합대책’ 추진이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충북도와 시·군은 귀농인 지원 조례 제정, 맞춤형 농촌적응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정보제공에서 정착에 이르기까지 귀농·귀촌인들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충북도는 현재 추진 중인 도시민 농촌유치 지원사업, 귀농인 농가주택수리비 지원, 전원마을조성 등 기존사업을 확대하고, 다양한 신규사업을 발굴해 타 지역과 차별화된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충북도는 올해 제천시 신월동 4만㎡의 부지에 80억원을 들여 체재시설(30동), 개별농장(30개소), 교육시설 등을 갖춘 ‘전국 최초의 농업창업 시설’인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를 역점적으로 주진하고 있다.
충북도는 앞으로 이 센터가 귀농인의 메카로 자리매김해 도내 귀농인 유입확대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와 더불어 우리 농촌의 현실을 감안할 때 침체된 농업·농촌의 활력화를 위해서는 향후 귀농․귀촌 인력의 역할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귀농․귀촌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간다면 충북이 전국에서 가장 선호하는 귀농․귀촌 전국 1번지로 자리매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