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광주광역시는 지난 8일 질병관리본부가 전국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함에 따라 65세 이상 어르신과 폐질환자 등 고위험군의 예방접종과 손씻기,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 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 질병관리본부 49주(11.27~12.3) 외래환자 1000명당 13.5명(잠정치)으로 유행기준 8.9명을 초과
올해 주의보 발령은 2010년 이후 가장 빠르며, 현재 분리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모두 A(H3N2)형으로 유전자 분석 결과 백신주와 항원성이 유사하다.
- 시 보건환경연구원, 표본감시 검출률 껑충
○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셋째 주 광주지역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첫 검출된 후 3주째인 12월 첫째 주 표본감시 결과, 표본검체의 31.8%에서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확인됐다고 9일 밝혔다.
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 실험실 감시사업’을 통해 매주 광주지역에서 발생한 호흡기환자의 원인바이러스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가 8일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를 발령한 같은 주에 수거된 표본검체 22건 중 7건에서 A(H3N2)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 의심증상, 의료기관 초기 진료받아야
광주시는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발표되면 65세 이상 어르신, 폐질환자 등 고위험군 환자에게는 항바이러스제 투약 시 요양급여가 인정되므로 인플루엔자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에 초기에 진료를 받도록 권고했다.
특히, 만기 2주 이상 신생아를 포함한 9세 이하 소아, 65세 이상 어르신, 면역저하자, 대사장애, 심장장애, 폐질환자, 신장기능장애자 등 우선 권장대상자 등은 유행시기 중이라도 미접종자는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 65세 이상 어르신(1951년 이전 출생)은 보건소에서 예방접종 백신소진 시 까지 무료로 접종을 받을 수 있으며, 올해부터 무료예방접종을 첫 시행하는 6~12개월 미만 영아(2015.10.1.~2016.6.30. 출생)는 12월 31까지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에 4주 간격으로 2회 접종해야 하므로 연말까지 2차 접종을 못한 경우 내년 1월까지 맞으면 된다.
광주시는 관계자는 “38℃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기침 또는 인후통 등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해 초기에 치료받고 외출 후 반드시 손씻기와 기침예절 지키기 등 개인위생을 잘 지켜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정의료기관을 방문하기 전에 관할 보건소, 129(보건복지부콜센터),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http://nip.cdc.go.kr)에 당일 접종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방문하면 된다.
♣안전하고 편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위해 꼭 지켜주세요♣
① 무료접종이 가능한 가까운 지정의료기관을 사전확인
※ 관할 보건소 및 ☎129(보건복지콜센터)로 전화해 당일 접종 가능한 의료기관 확인
※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및 스마트폰 앱에서 직접 확인* 가능
* 홈페이지에서는 실시간 백신잔량이 보여지기때문에, 예약환자용 백신 현황은 반영하지 못함
* 잔여백신이 소량인 경우, 병원을 방문하는 동안에 소진될 수 있으니 의료기관에 확인 후
방문필요
② 지정의료기관에 붐비지 않는 시간대로 사전 예약(전화 문의) 후 방문
절기 | 유행기준 (/1,000명) | 유행주의보 발령 시점 (ILI/1,000명) | 정점(/1,000명) | |
1차(12∼1월) | 2차(3∼4월) | |||
2015-2016 | 11.3 | ‘16.1.14(12.1) | 53.8(7주) | 35.5(14주) |
2014-2015 | 12.2 | ‘15.1.22(14.0) | 45.5(8주) | 35.6(12주) |
2013-2014 | 12.1 | `14.1.2(15.3) | 64.3(7주) | - |
2012-2013 | 4.0 | `13.1.17(4.8) | 12.7(9주) | - |
2011-2012 | 3.8 | `12.1.5(4.7) | 23.1(6주) | 20.3(13주) |
2010-2011 | 2.9 | `10.10.1(4.48) | 23.89(52주) | - |
2009-2010 | 2.6 | [A(H1N1)pdm09 발생] | 44.96(45주) | 20.45(15주) |
2008-2009 | 2.6 | `08.12.8(3.60) | 17.63(1주) | 8.68(15주) |
2007-2008 | 3.0 | ‘07.12.17(3.34) | 9.6(9주) | - |
2006-2007 | 7.5 | `07.1.12(8.73) | 8.38(1, 2주) | - |
2005-2006 | 7.5 | `05.12.23(9.63) | 11.52(52주) | - |
* 유행기준: 과거 3년(2013-2014절기∼2015-2016절기)의 비유행기간 ILI 평균 + 2×표준편차 (비유행기간 기준 강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 10%미만→ 2주 이상 2%미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