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박근혜 대통령 파면과 관련, 경제계는 "헌법재판소 결정을 존중한다"며 "이제 국정 공백을 매듭짓고 경제 살리기에 나서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특히 정치권을 향해 "사회 통합에 앞장서고 경제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당부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헌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내려진 결과에 모든 국민이 승복함으로써 정치적 대립과 혼란을 종식하고, 대한민국이 미래를 내다보고 올바른 진로를 개척할 수 있게 뜻과 지혜를 모아주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 "그동안 정치 일정에 밀려 표류하던 핵심 현안 해결에 국가 역량을 집중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정치권은 국가 개혁의 리더십을 발휘해주기를 바란다"고 요청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도 "정부·정치권은 이념과 정파를 초월한 협치를 통해 국정 운영 공백과 국론 분열에 따른 사회 혼란이 조기에 매듭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며 "노와 사를 비롯한 모든 경제 주체도 합심해 최대 현안인 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을 통한 민생 안정에 전력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도 "국회와 정부는 정치적 리스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경제 살리기와 민생 안정에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야 할 것"이라며 "경제계도 이번 사태를 값비싼 교훈으로 삼아 어려운 여건이지만, 적극적인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실업자가 100만명을 넘었고 전 세계에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하면서 초불확실성 시대로 접어들었다"며 "여야 정치권도 더는 불필요한 논쟁은 중단하고 안보 위기 대처와 경제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주문했다. 한국무역협회도 이제는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국가 운영 시스템을 정상화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대 그룹의 한 관계자는 "헌법재판소는 탄핵 인용 결정을 하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기업재산권을 침해했을 뿐 아니라 기업 경영의 자율권을 침해했다고 판단했다"며 "피해를 입은 기업들이 계속되는 검찰 수사와 정치권의 규제 등으로 추가 피해를 보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