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검찰은 22일(현지시간) 뉴욕 연방준비은행(이하 연은)의 방글라데시 중앙은해의 계좌를 해킹해 8100만 달러(약 908억 원) 털어간 사건의 배후로 북한을 의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면서 이번 사건에 북한 당국이 개입돼 있는지는 아직 분명치 않으며, 북한을 도운 중국 중개인에 혐의를 물고 북한이 연루됐음을 시사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지난해 2월 뉴욕 연은의 방글라데시 중앙은행 계좌에 사이버 절도범이 접근해 국제결제시스템망(SWIFT·스위프트) 코드를 이용, 8100만 달러를 필리핀 은행계좌로 빼돌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 1년동안 뉴욕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방글라데시 중앙은행과 스위프트 관련 공동 성명서를 발표하고 도난당한 자금 회수와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 소식통은 "당국자들은 이 사건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가능한 한 신속하게 도난당한 모든 금액을 회수하고 법 집행 기관과 협력해 용의자를 사법부에 넘기기 위한 다자간 국제 노력에 대한 지원을 촉구했다"며 "향후 이러한 유형의 공격으로부터 글로벌 금융 시스템을 보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뉴욕 연준은 조사 상황에 대한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보안회사인 시만텍(Symantec)은 이번 사건과 지난 2014년 소니 픽처스 해킹 사건에 이용된 방식이 동일하다고 결론내면서 두 범죄에 연관성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2014년 소니 픽처스가 김정은 암살을 다룬 코미디 영화 ‘더 인터뷰’를 제작· 발표한 뒤 해킹 당했으며, 미국 FBI는 배후로 북한을 지목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