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낮엔 건반, 밤엔 ‘퍽’ 많이 두드렸죠
  • 윤만형
  • 등록 2017-04-06 11:27:46

기사수정
  • 빙판 휘젓는 ‘피아니스틱’ 한수진



몇 해 전까지도 그의 가녀린 손은 피아노 건반을 오갔다. 지금 그의 손은 장갑 속에서 흠뻑 땀에 젖어있다. 한국 여자아이스하키대표팀 센터 한수진(30). 피아니스트 출신 아이스하키 선수다.


한국은(세계 23위)은 지난 3일 강원도 강릉 관동하키센터에서 열린 2017 여자아이스하키 세계선수권 디비전2 그룹A(4부리그) 2차전에서 영국(21위)을 3-1로 꺾었다. 한수진은 1피리어드에 상대 골리의 다리 사이를 뚫는 골로 승리를 이끌었다. 한국은 2일 슬로베이나(24위) 1차전 5-1 승리에 이어 2연승이다.


한수진은 피아니스트가 되는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예원학교-서울예고-연세대 기악과(피아노 전공)를 졸업했다. 그는 “아이스하키는 초등학교 때 취미로 1년쯤 하다 그만뒀다. 어머니(조효상·59)는 내가 피아니스트가 되길 원했다. 대입 재수를 하던 2006년, 피아노 레슨을 받으러 가는 길에 목동빙상장에서 아이스하키 경기가 열리길래 무작정 들어갔다. 그 때 아이스하키를 향한 열정이 되살아났다”고 말했다.


“아이스하키를 하겠다”는 딸의 ‘폭탄선언’에 어머니는 펄쩍 뛰었다. 한수진은 어머니 몰래 아이스하키 장비를 사들였다. 하루는 새벽에 잔뜩 화가 난 어머니가 그를 깨웠다. 장비 구매 영수증을 찢어 쓰레기통에 버렸는데 들킨 것이다. 그는 고집을 꺾지 않았다. 결국 어머니는 “피아노로 대학에 가면 아이스하키를 허락하겠다”고 조건부로 승낙했다.


한수진은 그 해 어머니 바람대로 대학에 진학했다. 입학하자마자 남자 뿐인 대학 아이스하키 동아리에 가입했다. 그리고 2007년 여자아이스하키 대표팀에 뽑혔다. 그는 “피아노 콩쿠르에 나가면 나홀로 번호표를 달고 무대 위에 올라가 외로운 싸움을 한다.


떨려서 악보를 까먹기도 했다. 반면 아이스하키는 옆에 늘 동료들이 있다. 아이스하키 쪽 구호인 ‘원 바디(우리는 한몸)’가 좋았다”고 말했다.


결국 한수진은 빙판을 택했다. 아이스하키를 더 잘하고 싶어 2011년 일본 아이스하키 클럽으로 유학을 떠났다. 그는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있었던 그 해다. 손에 200만원을 들고 무작정 일본으로 향했다.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로 만두를 빚고 설거지를 했다.


방 월세를 내려고 1500만원을 대출받았는데 다 갚는데 3년이 걸렸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돌아온 뒤 한수진은 낮에는 대학에서 수업을 듣고, 밤에는 태릉선수촌에서 훈련을 했다. 대학은 입학 7년 만인 2014년 마쳤다.


한국 여자아이스하키는 세계 무대에서 동네북 신세였다. 2007년 일본에 0-29로 참패했다. 아는 사람들이 “비전도 없는 걸 왜 하냐” “한달에 120만원(국가대표 하루 훈련수당 6만원) 벌어 생활이 가능하냐”며 싸늘한 시선을 보냈다. 그럴 때면 그는 “전엔 국가대표 하루 수당이 3만5000원이라 월 60만원을 받은 적도 있는데, 두 배로 늘지 않았냐”고 받아 넘겼다.


결국 한수진은 빙판을 택했다. 아이스하키를 더 잘하고 싶어 2011년 일본 아이스하키 클럽으로 유학을 떠났다. 그는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있었던 그 해다. 손에 200만원을 들고 무작정 일본으로 향했다. 식당에서 아르바이트로 만두를 빚고 설거지를 했다. 방 월세를 내려고 1500만원을 대출받았는데 다 갚는데 3년이 걸렸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돌아온 뒤 한수진은 낮에는 대학에서 수업을 듣고, 밤에는 태릉선수촌에서 훈련을 했다. 대학은 입학 7년 만인 2014년 마쳤다.


한국 여자아이스하키는 세계 무대에서 동네북 신세였다. 2007년 일본에 0-29로 참패했다. 아는 사람들이 “비전도 없는 걸 왜 하냐” “한달에 120만원(국가대표 하루 훈련수당 6만원) 벌어 생활이 가능하냐”며 싸늘한 시선을 보냈다. 그럴 때면 그는 “전엔 국가대표 하루 수당이 3만5000원이라 월 60만원을 받은 적도 있는데, 두 배로 늘지 않았냐”고 받아 넘겼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신천지의 두 얼굴 울산 청년 크루 페스티벌의 진실 [뉴스21일간=김태인 ]자료사진 "청년"의 이름 뒤에 숨은 검은 그림자, 울산 청년 크루 페스티벌의 진실2025년 9월, 울산에서 열리는 '제3회 청년 크루 페스티벌'을 둘러싼 의혹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겉보기에는 청년 문화를 위한 축제로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특정 사이비 종교 단체의 교묘한 포교 전략과 정치권과의 불편한 유착 가능...
  2. 울산시, 하절기 이야기(스토리) 야시장 성료 [뉴스21일간=김태인 ]  지난 7월 18일부터 지난 9월 13일까지 약 두 달간 이어진 하절기 ‘울산의 밤, 이야기(스토리) 야시장’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울산시가 주최하고 울산문화관광재단이 주관한 이번 야시장은 하루 평균 7,690명, 총 누적 14만 6,100명의 관람객이 방문해 울산의 여름밤을 환하게 밝혔다.  이번 하절기 이야기(스...
  3. 오치골 한가위 노래 자랑, 추석 맞이 첫 개최 [뉴스21일간=임정훈 ]울산 북구 양정동 오치골에서 추석을 맞아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특별한 축제의 장이 열린다. 오치골 한가위 노래 자랑 추진위원회는 오는 10월 6일(월), 북구 양정 생활체육공원 인라인스케이트장 상설 무대에서 **‘제1회 오치골 한가위 노래 자랑’**을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지역 대표 캐릭터 ‘까미·.
  4. 신간 <죽음의 쓸모> 박미라 시인이 신작 시집 『죽음의 쓸모』를 펴냈다. 달아실시선 96번으로 나왔다.  박미라 시인의 시(의 특징)를 한마디로 축약하기는 어렵지만 거칠게 축약하자면 “정밀한 묘사에서 힘을 얻는 서사, 깊은 사유를 품은 어둑한 서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이번 신작 시집 『죽음의 쓸모』의 등뼈를 이룬다. 노련한 ...
  5. 울산 동구 산업역사 사진전‘불꽃’개최 [뉴스21일간=임정훈 ]울산 동구는 한국산업단지공단 후원으로 마련한 울산 동구 산업역사 사진전 ‘불꽃’을 오는 9월 20일부터 10월 26일까지 문화공장 방어진에서 개최한다.      이번 사진전은 조선산업 역사를 개척해 온 노동자들의 땀과 열정, 치열한 삶과 고귀한 노동의 가치를 재조명하여, 산업역군으로 시대를 개척한 구민들...
  6. 형용사의 쓸모 인생을 흰 도화지에 비유하곤 한다. 무엇을 그리는가에 따라 삶이 달라진다는 것. 하지만 아름다운 그림은 ‘무엇’을 그리는가만큼이나 ‘어떻게’ 그리는지가 중요하다. 밑그림이 조금 부족해도 다채로운 색깔을 조화롭게 사용할 때 훨씬 아름답게 보인다. 인생에 무엇을 그릴지를 고민하는 것이 ‘명사’형 인생이라면 어떻게 그릴지 ..
  7. SSG의 에레디아, 최정, 한유섬, 류효승, 네 타자 연속 홈런포 홈런 군단 SSG의 강타선이 또 한 번 프로야구사에 남을 명장면을 만들어냈습니다.서막은 에레디아가 열었습니다.4회 첫 타자로 나와 NC 로건의 초구를 받아쳐 왼쪽 담장을 넘기는 홈런을 쳐냈습니다.다음 타자인 최정은 더 큰 아치를 그렸습니다.이번에도 타구가 왼쪽 방향으로 날아갔는데 관중석을 넘어가 장외 홈런이 됐습니다.이어 좌타자...
사랑더하기
sunjin
대우조선해양건설
행복이 있는
오션벨리리조트
창해에탄올
더낙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