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국민의당 제보 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16일 비공개 참고인 조사에 집중한다.
건강 이상을 호소하고 있는 국민의당 이준서(40·구속) 전 최고위원 등 핵심 관계자들에 대한 이날 소환조사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남부지검 공안부(부장검사 강정석)는 이날 제보 조작 사건과 관련해 이준서 국민의당 전 최고위원 등 주요 피의자 소환 없이 조사를 진행했다.
검찰은 참고인들을 상대로 이 전 최고위원과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 부단장이었던 김인원(54) 변호사 진술의 진위와 제보에 대한 부실 검증 여부 등을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 최고위원은 공직선거법(허위사실 공표·후보자 등 비방) 위반 혐의로 지난 3일부터 전날까지 8차례 조사 받았다.
지난 12일 구속된 그는 전날 조사 과정에서 건강상의 이유로 다소 이른 시각인 오후 8시께 조사를 마치고 구치소로 돌아갔다.
이 전 최고위원은 이유미(38·구속기소)씨가 문재인 대통령 아들의 한국고용정보원 특혜 입사 허위제보 자료를 만들도록 압박하거나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 변호사와 공명선거추진단 수석부단장이었던 김성호(55) 전 의원 등 이른바 윗선에 대한 대면 조사도 숨고르기를 한다.
국민의당 공명선거추진단은 지난 5월5일 기자회견에서 이씨가 조작한 제보를 공개했고 더불어민주당은 다음날 김 전 의원과 김 변호사 등을 고소했다.
김 변호사는 전날 약 16시간에 걸친 고강도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김 변호사를 지난 3일부터 3차례 소환해 제보조작 사실을 인지했는지 여부와 검증 과정 등을 추궁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의원은 지난 3일 소환 조사를 받았다. 검찰은 앞서 관련자 조사를 진행하면서 김 전 의원과 김 변호사의 혐의를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김 전 의원과 김 변호사에 대한 재소환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또한 검찰은 국민의당 윗선에서 이씨가 조작해 이 전 최고위원에게 전달한 제보 내용을 알고도 묵인했거나 사실관계를 부실하게 검증했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검찰은 이 전 최고위원과 김 전 의원, 김 변호사 등에 대한 수사를 이어가면서 필요할 경우 공명선거추진단장이던 이용주 의원 등 지도부에 대한 소환도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