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생산 부진 등으로 광공업 생산이 감소하며 전체 산업생산이 3개월 연속 뒷걸음질쳤다. 그러나 소비는 1%대 증가세를 회복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 산업생산은 광공업이 0.2% 감소(전월 대비)한 여파로 0.1% 줄었다. 전산업생산은 3월 1.3% 증가했지만 4월 1.0% 감소했고 5월에도 0.2% 줄었다.
구체적으로 광공업 생산 중 석유정제가 7.4%, 반도체가 3.9% 감소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1.3%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반면 서비스업생산은 0.5% 증가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5월에는 0.2% 감소한 바 있다.
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는 1.1% 증가했다. 5월 1.1% 감소한 데서 반등에 성공했다. 구체적으로 가전제품 등 내구재 판매는 0.9% 줄었지만 화장품 등 비내구재가 1.7% 증가했고 의복 등 준내구재가 2.4% 늘었다. 투자도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5.3% 증가해 5월 1.8% 증가에서 상승폭을 키웠다.
건설기성은 2.4% 감소했고 건설수주도 0.4% 줄어(전년 대비) 조정을 받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포인트 하락했고 앞으로의 경기 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상승했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건설업·공공행정도 안 좋았고 전체 산업생산이 전월보다 줄었다"며 "소비지출 쪽은 개선됐는데 건설업 감소세가 지속되고 광공업도 감소로 돌아서면서 전체 산업생산이 위축된 모습을 나타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