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단 설립자의 비리로 몸살을 앓은 전북 서남대학교에 대한 폐교 방침을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2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최근까지 등장한 인수 희망자를 통해 서남대를 정상화하는 것이 어렵다고 보고 폐교 발표 시점을 고심 중이다.
교육부는 "서울시립대와 삼육학원의 방안은 각 대학의 의대 발전 방안에 불과하다"며 "정상화를 위한 재정기여 방안이 미흡하다"고 평가했다.
폐교 조치가 내려지면 의대생을 포함한 재학생들은 전공 등에 따라 인근 대학으로 편입하게 된다.
의대 정원은 전북대와 원광대 등으로 흡수될 가능성이 크지만 의대 확대를 바라는 다른 호남권 대학들이 나서면 혼전도 예상된다.
서남대는 지난 2012년 이홍하 당시 이사장이 교비 1천억 원을 횡령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뒤 대학 구조개혁 평가에서 최하위 등급을 받았다.
서남대는 2014년부터 교육부가 파견한 임시이사 체제로 운영됐다. 하지만 이후에도 1주기 대학 구조개혁평가에서 최하위인 E등급을 받고 2014학년도부터 3년 연속 입학정원 5% 감축 조치를 당하는 등 부실을 걷어내지 못했다.
이 과정에서 옛 재단 관계자들이 인수 희망자가 많은 남원캠퍼스(의대)를 매각하고 아산캠퍼스 경영권을 되찾으려고 시도했던 것도 교육부가 퇴출이라는 선택지를 택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