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이 전주보다 다소 떨어진 72.5%를 기록했다. 북한의 미사일 발사 후 정부 정책혼선과 휴가 적시성 논란으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음에도 8·2부동산 대책 발표로 반등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CBS 의뢰를 받아 지난달 31일부터~4일 조사해 7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긍정평가는 전주보다 1.5%p 하락한 72.5%(매우 잘함 46.9%, 잘하는 편 25.6%)로 나타났다.
문 대통령 국정수행에 대한 부정평가는 전주보다 1.7%p 오른 20.9%로 (매우 잘못함 9.0%, 잘못하는 편 11.9%)였으며 '모름/무응답’은 6.6%로 집계됐다.
문 대통령 국정지지율은 수도권과 부산경남(PK), 충청권, 60대 이상, 보수·중도·진보층,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지지층에서 하락한 반면 대구경북(TK), 자유한국당 지지층에서는 상승했다. 다만 여전히 모든 지역·연령·이념성향에서 긍정평가가 크게 높거나 우세한 것으로 조사됐다.
문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지난 28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에 따라 발표된 잔여 사드 추가 임시배치 결정을 둘러싸고 빚어진 정책혼선과 해당 기간 대통령의 여름 휴가에 대한 적시성 논란이 이어진 1일에는 지난 주 대비 4.1%p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주택투기시장 억제안을 담은 '8·2부동산대책'이 발표된 당일부터는 국정지지율이 3일 연속 올랐다. 또한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의 대규모 민간인 댓글조직 운영'이 보도된 4일은 대통령 국정지지율이 전주대비 1.7%p 올라 하락치를 만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7월31일부터 8월4일까지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5만5753명을 상대로 실시돼 응답률 4.5%를 나타냈다.
조사 방식은 유무선 전화 병행으로 무선 전화면접(9%) 무선(71%) 유선(20%) 자동응답 혼용으로 임의 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됐다. 통계보정은 2017년 1월말 행안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성·연령·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9%p다.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