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국립민속박물관과 공동으로 진행하는 '2019 인천민속문화의 해' 사업을 본격화한다.
인천시는 다음 달 중 국립민속박물관과 '2019 인천민속문화의 해' 공동 추진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점차 사라지고 있는 지역의 민속문화를 조사·기록해 자원화한다는 취지로 매년 지자체를 지정해 '민속문화의 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은 올해부터 3년 동안 민속문화유산을 발굴·보존하고, 콘텐츠를 개발해 인천민속문화의 해로 지정된 2019년 다양한 사업을 펼친다.
보고서는 국가산업단지인 남동공단과 부평, 주안공단 노동자들의 생활 문화를 집중적으로 다루게 된다. 또 연평도 꽃게 어획사 등 어촌생활 문화와 70여 년 전 외국 학자가 조사했던 강화도 선두포의 생활 문화 변동 양상도 포함된다.
내년에는 인천의 생활 문화가 반영된 유물을 집중적으로 수집하고 민속과 관련된 문화학교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2019년에는 인천시립박물관에서 개항기 인천으로 근대 문물이 유입된 역사와 문화를 주제로 특별전시회를 열 예정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인천의 민속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보전의 중요성을 알려 나가겠다”고 말했다.
인천시와 국립민속박물관은 2019년 4월 '2019 인천민속문화의 해' 선포식을 열고, 인천시립박물관 특별전을 비롯한 다양한 사업을 가질 방침이다. 사업예산은 모두 20억원으로 인천시와 국립민속박물관이 절반씩 부담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인천지역 민속문화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발굴해 문화예술자원과 미래자산으로 활용하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