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전화통화 때 그동안 북한과의 대화를 강조해온 한국 정부를 향한 불만을 표시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일본 후지TV는 7일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일·미 정상 간 전화통화에서 한국이 북한과의 대화를 '구걸하는 것 같다'는 말을 했던 것으로 드러났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통화한 지난달 29일은 북한이 발사한 탄도미사일이 일본 홋카이(北海)도 상공을 지나간 날이다.
후지TV는 트럼프 대통령이 당시 통화에서 대북군사적 압력의 필요성을 "누군가는 (한국에) 전달해야 한다"고 말했다며 그에 따라 다음날(8월30일)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 간 전화통화가 이뤄진 것이라고 전하기도 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달 30일 문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관련 대응을 협의한 뒤엔 다시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를 했다.
후지TV는 또 북한이 제6차 핵실험을 강행한 이달 3일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 간의 2차례 통화 뒤 4일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 그리고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 간 통화가 이뤄진 것과 관련해서도 "(대북) 군사적 압력에 엉거주춤한 태도를 보였던 한국과 거기에 애가 탔던 미국 사이에서 일본이 중재한 것"이란 해석을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이달 3일 북한의 6차 핵실험 뒤 이뤄진 통화에선 상대방과 "100% 함께한다"는 말을 주고받았다고 전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이날 후지TV 보도에 대해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엄중한 안보상황에 대응하는 국제사회의 공조를 훼손하는 것"이라면서 "강력한 유감을 표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청와대 관계자는 뉴스1과의 통화에서 "북핵·미사일 도발과 관련한 문 대통령과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은 확고하고 일관된 것이었다"면서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완전히 포기하고 폐기할 때까지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한 제재·압박을 지속해야 하고, 북한이 먼저 스스로 대화의 테이블로 나오게 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모든 해외 정상들과의 회담 및 전화통화에서 이런 메시지를 일관되게 강조했다"며 "회담 이후 발표된 각국 브리핑에도 정상들 간 이견 없이 공감대를 이뤘다고 돼 있음이 이를 증명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