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모바일 대출 규모가 최근 3년새 3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대출은 합리적인 금리로 빠르고 편리하게 대출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과도한 대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1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에 따르면 모바일 대출을 통한 금융권 총 대출잔액은 2014년 1조 857억원에서 지난해 3조 6231억원으로 늘었다. 최근 3년새 3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시중은행권의 모바일 대출잔액은 2014년 9천754억원에서 2016년에는 3조1천289억원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 이용자 신용등급별로는 1등급~7등급까지 분포돼 있었다.
저축은행권은 2014년 722억원에서 2016년 4천469억원으로 6배 이상 증가했고 신용등급별 이용자는 4~7등급 사이가 많았다.
캐피탈사는 2014년 381억원에서 2016년 472억원으로 늘었다. 캐피탈 업권의 모바일대출 증가세가 낮은 것은 업무영역 특성상 할부금융이 많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자동차할부금융처럼 캐피탈사들이 제조사에 직접 구입자금을 대납하는 경우에는 대출로 잡히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모바일을 통해 할부금융을 이용해도 모바일대출은 크게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된다.
모바일 대출을 통해 카드론이나 대부업체를 이용하던 중신용자들이 1·2금융권의 합리적인 금리로 빠르게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된 것은 긍정적인 변화지만, 가계부채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모바일 간편대출의 급격한 증가가 대출 건전성의 악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박 의원은 "쉽고 빠른 모바일 대출의 이면에는 가계부채 건전성 악화의 이면이 존재할 수 있다"며 "금융당국이 모바일 소액대출에 대해 적극적인 건전성 관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