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30일 6년5개월 만에 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부동산 시장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미 시장 금리가 선제적으로 높아진 상태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본격화됨에 따라 급격한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경우 부동산 시장이 휘청거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부동산전문가들은 여신규제와 금리 인상이 겹쳐지면서 부동산 거래 위축이 불가피해졌다고 입을 모았다. 오피스텔이나 상가 등 수익형부동산 시장이 관망세로 접어들고 신혼부부 등 실수요자들도 거래에 선뜻 나서지 못하며 경기도와 일부 지방에서는 역전세난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과거처럼 과도한 대출을 통한 부동산 매입은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금리만 오른 게 아니라 여신규제도 함께 겹치는 것이 문제"라며 "금리인상이 완만하게 이뤄진다 해도 대출 규제 때문에 부동산 거래도 위축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전문위원은 "시중금리와 비교 우위를 따져 구매 여부를 결정하는 오피스텔과 상가 등의 수요 감소가 불가피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박합수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대출 금리 상승으로 신규 수요자의 구매심리 위축과 기존 대출 수요자의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수익형 부동산의 경우 내년부터 부동산 임대업 대출 가이드라인이 적용되는 가운데 금리가 오르면서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신혼부부 등 초기 자금이 부족한 실수요자들도 중소형 아파트 구입에서 대출 의존도가 높았던 점을 감안하면 거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과 함께 내년부터 입주물량이 급증하는 경기도와 일부 지방 아파트는 집값 하락에 따른 역전세난이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금리 인상은 대출 의존도가 높은 신규 분양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집단대출 규제가 심화되면서 1금융권에서 중도금 대출을 받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1, 2금융권을 통틀어 증도금 대출 금리 부담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내년에 입주물량이 증가하는데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으로 잔금 대출 전환 시 일부 지역과 단지에선 입주 포기 등이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대출을 통한 투자가 많지 않은 토지시장은 금리 인상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관측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과거처럼 과도한 대출을 통한 부동산 매입은 자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함영진 센터장은 "미국도 추가 금리 인상이 예고돼 있고 내년에는 신 DTI(총부채상환비율)와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도 도입되는 만큼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집값의 30∼40% 이내로 대출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중도금 대출이 어려워졌고 대출이자도 계약률과 연계될 가능성이 큰 만큼 새 아파트도 인기지역, 유망단지 위주로 청약하는 게 안전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