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 일상 속으로”…제주도, 한림서 첫 ‘현장 도지사실’ 가동
제주도가 도민 일상 속으로 한 걸음 더 가까이 들어갔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제주시 한림읍에서 ‘현장 도지사실’을 처음 운영하며, 지역 주민들이 생활 속에서 겪는 어려움을 직접 듣고 해법을 함께 찾는 소통 행정에 나섰다. 기존 도청 청사를 벗어나 주민 생활권으로 찾은 이번 도지사실은 ‘찾아가는 행정’의 새로운 시도로 주목...

경기도농업기술원은 고소애(식용곤충 갈색거저리 애벌레) 분말을 반려 견 사료로 급여했을 때 간 기능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농업기술원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소애 분말을 2.5%와 5%를 첨가해 2개월 미만의 이유견과 6년 이상의 노령 견에 1~2개월간 급여한 결과 기호성, 변, 털색깔 등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특히, 간 기능 지표인 ALT(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 수치 개선효과가 있었다.
고소애는 단백질이 약 50%, 지방이 4% 정도로 이중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76~79%나 되는 우수한 영양조성을 갖춘 식용곤충이다. 2014년도에 실험용 쥐에 고소애 식이시험을 한 결과 간 해독작용과 간 손상 시 발생하는 효소함량 감소 효과를 밝혀낸 바 있으며 이번에 반려 견에서도 간 기능 개선효과가 있음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번 연구는 성장하고 있는 반려동물 시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내 곤충농가의 소비시장 확보차원에서 진행됐다.
김순재 경기도 농업기술원장은 “최근 곤충사육 농가가 매년 50% 이상씩 증가하고 있는 반면, 곤충 소비시장은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적어 농가경영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번 연구결과로 기능성 곤충사료 소비가 확산되어 사랑하는 반려 견 건강도 챙기고 곤충농가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저 출산과 1인 가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국내 반려동물 수가 2016년 기준 약 1,000만 마리로 2년 전에 비해 80%나 성장했고 반려동물 시장도 현재 2조원에서 2020년 6조원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