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당시 국군기무사령부가 60명 규모로 태스크포스(TF)를 꾸려 여론 형성 등에 조직적으로 관여한 정황이 드러났다. 기무사의 세월호 관여 정황이 밝혀진 건 이번이 처음이다.
2일 국방부 사이버 댓글사건 조사 TF는 기무사의 여론조작 행위를 조사하던 중 온라인상의 여론조작을 넘어 세월호 사건에도 조직적으로 관여한 문건 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조사TF에 따르면 기무사는 세월호TF를 운영하며 ‘세월호 180일간의 기록’ 등의 문건을 생산했다. 기무사는 사고발생 13일째인 2014년 4월 28일 세월호 관련 현장상황 파악을 위해 TF를 구성하고 사고발생 28일째인 5월 13일에는 ‘세월호 관련 TF’로 확대 운영하는 등 2014년 10월 12일까지 약 6개월간 TF를 운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기무사는 보수단체들이 좌파집회에 대항하는 맞불집회를 열 수 있도록 소위 ‘좌파집회’ 정보를 달라는 요청에 응해 세월호 사건 관련 시국 집회 정보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조사TF는 “이번에 확인된 의혹에 대해서 국방부검찰단으로 이첩, 위법사항 여부에 대해 확인할 예정”이라며 “국방부는 세월호 진실규명을 위해 특별법에 의해 활동 예정인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에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등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