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수도권 주택공급 물량을 늘리기 위해 서울과 일산 분당 등 1기 신도시 사이에 총 330만㎡ 이상 면적의 신도시 4∼5곳을 추가 조성해 총 20만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 옛 성동구치소와 개포동 재건마을 등 서울 수도권 17곳은 공공주택지로 총 3만 5000가구가 공급된다.
국토교통부는 21일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공개하면서 "양질의 저렴한 주택이 충분히 공급되도록 입지가 우수한 공공택지 30만가구 확보를 내년 상반기까지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공급규모는 경기도에 18만가구, 인천에 2만가구로 계획됐다.
정부는 이 택지에 인프라와 교통망, 자족기능을 갖춘 가치창출형 주거 공간으로 조성해 수도권 중심부의 주거·업무기능을 분산 수용할 방침이다.
정부는 실수요자 주거지원 공공성을 강화하기 위해 신규 택지에 공공주택 위주(공공임대 35% 이상)으로 공급하되 임대·분양 비율을 지역별 수요에 따라 지자체와 협의해 탄력 적용키로 했다.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수도권 공공택지 내 공공분양 주택의 경우 전매제한을 최대 8년(기존 6년)으로, 거주의무를 최대 5년(기존 3년)으로 강화하고 모니터링과 합동 투기단속반 운영을 통해 투기 수요도 차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