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김완근 제주시장, 도의회 지적 현안 직접 점검… 시민 불편 해소 ‘속도’
김완근 제주시장이 제주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지적된 현안을 직접 챙기며 시민 생활 불편 해소에 속도를 내고 있다.24일 김 시장은 제443회 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제기된 안전·복지·교통 분야 주요 현장 4곳을 방문해 실태를 점검했다. 이번 현장 행보는 정책 질의 과정에서 드러난 생활밀착형 문제를 신속히 개선하기 위한 조치로, ...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저층주거지 재생을 위한 2018년 도시재생활성화지역(근린재생일반형)으로 ‘송정동’이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근린재생일반형은 저층주거지 재생사업으로 내년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최대 100억 원의 마중물 사업비를 서울시로부터 지원받는다. 송정동은 중랑천의 송정제방을 끼고 노후 된 저층주거지가 밀집된 지역으로 오랜 기간 거주해온 주민들이 많아 이웃과 마을에 대한 애착심과 지역공동체의식이 높은 곳이다.
송정동은 2016년부터 주민역량 강화 등 준비기간을 거쳐 희망돋움과 희망지 사업을 진행해왔다. 희망지사업은 지난 도시재생 1단계 사업 시 주민의 역량 강화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계획이 동시에 추진돼 발생한 사업 지역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됐다.
도시재생 신규지역 평가내용으로 주민 모임 역량 및 주요활동실적, 성동구 지원계획, 지역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또한, 송정동이 주민 모임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주민들의 사업 의지가 강한 곳으로 실제 도시재생사업 시행 시 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주민협의체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평가해 선정됐다.
구는 송정동이 희망지 사업을 통해 그동안 쌓아온 경험과 주민들의 인적 자원을 기반으로 공동체의식 회복과 활성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도시재생을 이끌어 갈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주민주도의 마을 가꾸기 사업을 통한 환경개선, 마을의 잠재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역량 강화를 통해 주민주도의 다양한 문화·복지 프로그램 운영을 목표로 삼고 있다.
송정동은 지난해 8월 도시재생 희망지 사업 주민거점공간인 ‘송아G’를 개소해 운영 중이다. 송아G는 송정동 주민들의 아지트(Group)를 의미한다. 주민들은 송아G를 거점으로 도시재생을 위한 지역 조사, 의제 발굴, 교육·홍보 등을 하며 살기 좋은 지역을 만들어 가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이란 과거 전면 철거 방식의 재개발 대신 주민이 직접 공동체를 꾸리고 환경을 정비하며 마을을 되살리는 사업이다. 구는 성수 도시재생시범사업을 시작으로, 마장, 용답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그동안의 도시재생사업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송정동이 도시재생을 선도하는 지역이 될 수 있도록 만들겠다.”며 ”이번 선정으로 살기 좋고, 살고 싶은 지역으로 재탄생하여 성공적인 도시재생사업이 되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