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청사앞 기획재정부 갑질 공공노동조합 규탄 결의대회장면
오늘14시 세종청사 기획재청부 앞에서 공공노동조합대표 조합원이. 기획재정부의 갑질 근절과 빼앗긴 노동기본본권을 되찻기위한 규탄 집회가 있엇다.
노동계의 사회적 대화 참여를 지속적으로 요청해 온 문재인정부의 요청에 화답하여 우리 양대노총 공공부문 노동조합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지난 8월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이하 ‘경사노위’)에 사회적 대화기구로 공공기관노정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공식 요청하였다.
하지만 이명박근혜정권에서 책임지지 않는 무소불위의 권한으로 338개 공공기관을 줄 세워 4대강․ 해외자원개발․ 공공기관비정상화․ 해고연봉제 등 적폐정책을 누구보다 앞장 서 추진했던 기획재정부는 문재인정부의 국정운영원칙인 사회적 대화를 명백히 거부하였다고 지적하엿다.
지난 9월 14일 경사노위 위원장과 기재부를 비롯한 3개 부처 차관간 간담회에서 경사노위 위원장이 직접 대통령의 국정운영기조와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행정안전부와 고용노동부가 참여를 결정하였음에도 기재부 차관이 노사정대표자회의 산하 공공기관노정위원회의 출범을 가로막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우리나라 최대 재벌은 기획재정부 공공정책국이고, 공공정책국장이 회장, 공공정책국 과장이 이사, 338개 기관장은 팀장에 불과” 하다는 말이 널리 회자될 정도로 모든 공공기관을 획일적으로 통제해 온 기재부의 그릇된 행정관행이 시정되지 않는다면, 문재인 정부의 국정과제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의 실현, 국민이 골고루 잘 사는 포용적 성장은 요원할 것이라 지적햇다
이에 우리 공대위는 기획재정부 규탄 공공기관노동조합 결의대회”를 개최하여 사회적 대화기구 참여를 거부한 김동연 기획재정부 장관의 즉각 경질과 사회적 대화기구를 통한 노정교섭, 지난 이명박근혜 정권에 부역했던 과오를 시정하고 잘못된 행정관행을 바로 잡을 수 있는 기획재정부 적폐청산위원회 설치를 공식 요구하고자 한다고 규탄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