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시도교육청이 비리 사립유치원에 대한 감사결과가 공개하면서 각종 비리 백태를 확인한 학부모들은 충격에 휩싸였다.
지난 24일 서울·부산·경남·제주·인천 등 17개 교육청은 감사 결과 지적을 받은 사립유치원 이름을 실명으로 밝히고 처분내용 등을 담은 자료를 홈페이지에 올렸다.
공개 대상은 서울 76곳(공립 31곳), 경기 122곳(공립 43곳), 인천 223곳, 대전 176곳(공립 8곳), 경남 21곳 등이다.
도교육청은 이날 '사립유치원 안정화 종합대책'도 발표했다.
유아 모집을 정지하거나 폐원 등을 한 사립 유치원이 발생한 지역에 공립유치원을 우선 설립하고 학급 수를 늘려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도교육청은 사립유치원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기 위해 경기도의회와 협력해 시민감사관과 감사공무원도 한시적으로 늘리기로 했다.
특정감사도 지속하고 종합감사 때는 사립유치원의 비율을 높이는 등 사립유치원 감사를 확대할 예정이다.
급식 문제 해결을 위해 초·중·고교처럼 유치원에도 학부모 교차 모니터링제를 도입하고 급식일수에 따라 총액으로 계산하던 유치원 급식비 정산방법을 식품비와 인건비, 운영비 등으로 세분화하기로 했다.
강영순 도교육청 제1부교육감은 "최근 언론에 공개된 유치원들의 불미스러운 일로 사회적 불안을 야기한 데 대해 송구하다"며 "사립유치원들도 이기적인 집단행동보다는 유아들을 생각하는 교육기관답게 입학관리시스템 등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스스로 자정 노력을 하기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