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119영상 신고 접수시스템’이 새로 도입된다. 화재·구조·구급상황 발생 시 119로 신고하면 영상통화로 신고자의 현장상황에 맞는 응급처치 지도 등 신속한 조치로 황금시간 달성률을 한 단계 더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지난해 12월부터 119 구급 신고자에게는 구급차 실시간 위치 및 구급대원 연락처 등 출동정보를 문자로 전송해 주는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새해부터는 2017년 12월 26일 이 전 허가를 받은 다중이용업소(노래방 등)의 경우에도 올해 12월 27일까지 비상구 외부에 추락방지장치를 갖춰야 한다. 또한 상반기 중에 기초조사를 거쳐 올 하반기부터는 화재취약 다중이용업소 주변을 주차금지장소로 지정·운영한다. 한편 최근 도시개발로 유입 인구가 늘고 소방대상물이 급증하고 있는 서울의 서남쪽 강서구 마곡지구에 10월 ‘마곡119안전센터’가 새로 문을 연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19년 새로워지는 소방안전 4대 대책+소방인프라 확충’ 계획을 22일(화) 발표했다.
4대 대책은 재난현장 황금시간 도착률 향상을 위한 시민편의성을 높이는 119신고 시스템 개선(상반기) 등, 시민생활밀착형 예방안전관리를 위한 IoT 기반, 소방시설 실시간 감시시스템 도입(하반기) 등, 참여와 협력을 통한 시민안전 확보를 위한 다중이용시설 관계인 안전관리 역량강화 등, 소방공무원 안전복지향상을 위한 직장어린이 집 설치 운영 등이다.
소방인프라 확충을 위해 마곡119안전센터 신설, 소방관의 구조 기술능력 향상을 위한 소방행정타운 전문훈련시설 건립 등, 서울형 재난관리 인프라를 개발도상국으로 전파하는 데도 적극 나선다.
이재열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주요정책 비전으로 ‘내 삶이 안전한 시민이 주인인 서울’을 제시하고 “이를 위해 현장중심 총력대응, 일상화된 안전생활, 안전약자 해소, 안전혁신 소방행정 실현을 목표로 정하고 시민 삶의 현장에서 안전을 혁신하고 균형의 관점에서 주변에 산재한 안전 불평등을 해소하여 내 삶이 안전하고 행복한 서울시정을 구현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