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2019년 상반기 채용의 막이 올랐다. 국내 굴지 대기업들을 필두로 많은 기업들의 서류 전형이 시작되는 가운데, 이력서나 자기소개서 등 서류 작성 상의 사소한 실수가 감점을 넘어 심하면 탈락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구직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기업 인사담당자 262명을 대상으로 ‘탈락에 이르는 치명적인 서류 실수’에 대해 조사한 결과, 무려 86.6%가 ‘탈락 처리하는 서류 실수가 있다’고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자격조건 미달’이 절반에 가까운 42.3%의 비율로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기업명 및 회사 내용 잘못 기재’(24.7%), ‘지원 분야 잘못 기재’(7%), ‘이력서 일부 항목 누락’(5.3%), ‘지정된 제출 양식 미준수’(4.8%), ‘오타 및 맞춤법 오류’(4%), ‘마감 기한 지나고 제출’(3.5%) 등의 순이었다.
지원자의 서류 실수에 대한 평가는 과반인 58.4%가 ‘감점’한다고 밝혔지만, 10곳 중 2곳인 19.8%는 실수 종류와 상관없이 ‘무조건 탈락’시키고 있었다.
또, 서류전형 실수에 감점을 한다는 기업들은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평균 26.6점을 감점한다고 밝혔다. 1점이 아쉬운 상황에서 사소한 실수가 당락에 돌이킬 수 없는 영향을 줄 수 있는 셈이다.
실제로 서류에서 실수한 지원자가 최종 합격하는 비율은 평균 29.5%로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수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자세가 안 된 것 같아서’(51.7%, 복수응답), ‘묻지마 지원인 것 같아서’(40%), ‘입사 의지가 부족해 보여서’(29.3%), ‘업무 능력도 떨어질 것 같아서’(23.9%), ‘실수 없는 지원자와의 형평성을 위해서’(8.3%) 등을 들었다.
서류전형에서 실수를 했다면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 서류전형에서 실수를 저질렀을 경우, 가장 좋은 대처 방안으로 절반을 넘는 53.4%가 ‘담당자에게 연락해 실수를 수정한다’를 꼽았다. 다음으로 26.3%는 ‘바로 수정해서 다시 보낸다’를 선택했다. 20.2%는 ‘제출한 이후 대처는 의미 없다’고 밝혔다.
사람인의 임민욱 팀장은 “서류전형은 채용 과정 상 지원 기업에 본인을 처음 알리는 단계로, 아무리 뛰어난 스펙과 경험으로 무장해도 사소한 오탈자 하나에 지원자에 대한 좋지 않은 선입견이 생길 수 있다.”라고 말하며, “사전에 충분히 검토를 해야 하지만, 서류 제출 후에도 누락되거나 틀린 점이 있는지 다시 한 번 점검하고, 실수를 발견했을 때는 정중히 양해를 구하고 수정본을 제출하는 등 최대한의 성의를 보이는 것이 현명하다.”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