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과도한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워라밸 정착을 위해 주 52시간근무제가 도입된 지 1년이 지났다. 실제로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현황은 어떨까?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www.saramin.co.kr 대표 김용환)이 종합숙박·액티비티 예약 서비스 여기어때와 함께 직장인을 대상으로 ‘주52시간제 도입 후 변화’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현재 주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하는 회사에 재직 중인 직장인 1,1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1.7%가 제도 도입 후 근로시간 단축이 자신의 삶에 영향을 주었다고 답했다.
직장인 2명 중 1명은 영향을 받은 것. 이들 중 ‘긍정적 영향’을 체감한다는 응답자가 78.1%로 ‘부정적 영향’을 체감하는 응답자(21.9%)보다 3.5배 이상 많았다.
근로시간 단축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부분으로는 ‘취미 등 여가 생활 가능’(49.2%, 복수응답)을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정시 퇴근 분위기 정착’(40.3%), ‘가족과의 시간 확보로 만족도 증대’(39.7%), ‘과로 등에서 벗어나 건강이 개선됨’(34.4%), ‘업무 능률이 상승함’(27%), ‘업무 의욕이 상승함’(11%)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반면,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월 소득이 줄어듦’(60.2%,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계속해서, ‘업무량은 줄지 않아서 심적 부담감이 가중’(44.4%), ‘집에 일을 가져가서 하는 등 무보수 근로시간이 늘어남’(25.6%), ‘업무 효율이 떨어짐’(23.3%), ‘저녁 양극화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12.8%) 등을 선택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주52시간제 도입으로 인해 구체적으로 어떤 변화를 겪었을까.
실제 근로시간이 단축되었다는 응답은 39%였으며, 주당 평균 4시간 정도 줄어든 것으로 집계되었다. 또, 34.8%가 야근 및 주말근무가 ‘줄어들었다’고 답했으며, ‘아예 없어졌다’는 응답자도 10.7%나 됐다.
응답자 절반(50.7%)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이후 삶의 질이 윤택해졌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52시간제 도입으로 여행 빈도가 늘어났다고 답한 응답자는 35.5%였으며, ‘금~일 활용한 여행’(41.3%, 복수응답)과 ‘1박 2일 여행’(37.7%)이 많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여기어때'에 따르면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 후 금요일부터 이어지는 2박 이상의 연박 건수가 5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 52시간제 근무제 도입 이후 생긴 여유시간은 주로 ‘휴식’(43.7%, 복수응답)을 하면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운동 및 건강관리’(32.1%), ‘취미’(30.8%), ‘가족간의 대화’(17.9%), ‘어학, 자격증 등 자기계발’(16.1%), ‘여행’(13.7%) 등의 응답도 있었다.
여유는 늘어났지만, 소득은 줄어든 경우도 있었다. 주52시간 근무제 도입 이후 월 임금이 줄어들었다는 응답자는 24.7%였고, 월 평균 38만원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되었다.
한편, 주52시간제 근무제를 도입하고 있지 않은 기업에 재직중인 직장인(875명) 중 58.1%는 주52시간 근무제를 누리는 직장인에 대한 상대적 발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또 70.7%는 주52시간 근무제를 조기도입을 원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