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PICK>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7개월 연속 0%대를 기록하면서 저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최근 저물가 현상은 공급적 측면과 정부 정책효과가 나타난 결과물이라고 분석했다. 하반기 유류세 인하 종료와 공공요금 인상 등이 상승요인으로 작용하면서 물가가 상승 안정화될 것이란 게 정부의 예상이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보다 0.6% 상승에 그치며 7개월 연속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 2.0%에 한참 못미치는 수준인 0%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경기부진 상황에 물가하락이 더해지면서 소비부진에 의한 물가 하락이 아니냐는 지적과 함께 디스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제기됬다.
하지만 정부가 분석한 물가하락의 이유는 공급적 측면에 있다는 목소리다. 농작물의 공급량이 늘면서 폭등했던 가격이 안정화되고 배럴당 100달러에 육박했던 국제유가가 50~60달러로 떨어지면서 안정세를
보였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의 정책효과까지 더해져 물가 안정에 기여한셈이다.
집세와 공공서비스등 정부의 부동산정책이나 무상교육등의 조정으로 인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전반기 물가상승률이 하락 안정화됐다면 하반기에는 다소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이 과장은 "하반기 상승, 하락 요인등으로 미루어 봤을때 올해 물가상승률은 대략 한국은행 하반기 경제전망에서 현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