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화재로 인해 황폐화된 아마존 열대우림
3주째 이어지고 있는 열대우림 아마존 화재에 브라질 정부가 미온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국제사회의 비난이 거세다. 유럽을 중심으로 브라질산 농축산물 수입과 무역협정 거부 움직임도 나타날 조짐이 감지된다. 브라질 주요기업과 단체들은 사업 타격을 우려하며 정부에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에 26일(현지시간) 막을 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각국 정상들이 아마존 열대우림 화재 진압을 돕기 위해 브라질 등 중남미 국가에 총 2,000만 유로(약 271억원)를 즉각 지원하기로 했다.
25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론도니아주(州)를 포함, 브라질 7개주는 아마존 화재 진압을 위해 군병력 지원을 요청했고 병력 4만3000명이 화재 진압 작전에 투입됐다.
브라질 서부 도시 포르투벨류에는 소방관 수십명이 배치돼 적극적으로 화염 진압에 나선 상황이다. 세르지우 모로 브라질 법무부 장관은 아마존 불법 삼림 벌채를 막기 위해 보안군을 배치할 수도 있다고 시사했다.
브라질뿐 아니라 아마존 열대우림이 퍼져있는 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베네수엘라 등 일대 다른 국가들에도 국제사회의 지원 손길이 뻗치고 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날 프랑스 비아리츠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G7 정상들이 가능한 한 빨리 아마존 화재 피해를 입은 국가들을 지원하는 데 동의했다고 말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도 지원을 제안했었다.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은 이날 선거 운동을 중단하고 아마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국제 공조를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아마존 화재 원인은 대부분 브라질 농장주·목축업자들이 목축지나 삼림 개발을 위해 일부러 불을 놓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무분별한 아마존 개발을 막아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지면서 브라질 정부를 압박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물론 이 지역은 브라질 영토지만 우리는 이 삼림이 전 세계의 문제라고 본다"며 "온 지구의 허파가 타들어가고 있으므로 우리는 공통 대책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