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호 태풍 미탁(Mitag)'의 북상 소식이 전해진 30일 오후 경북 칠곡군 동명면 논에서 농부가
추수를 서두르고 있다.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소폭 줄어들 전망이다. 재배면적이 줄어든 데다 가을장마, 잇따른 태풍 등의 여파로 단위면적당 생산량도 감소한 여파다.
통계청은 '2019년 쌀 예상생산량 조사 결과'를 통해 올해 쌀 생산량을 지난해(386만8000톤)보다 2.3%(8만9000톤) 감소한 377만9000톤으로 전망했다.
많은 강수량이 필요한 개화기(8월중순~8월말)의 강수량도 지난해(254.3mm)의 절반도 안되는 103.4mm에 불과했다. 특히 벼 낟알이 익는 시기(등숙기)에는 제13호 태풍 '링링'이 한반도를 지나면서 벼가 쓰러지는 등의 피해가 발생해 10a당 생산량이 감소했다.
시·도별 쌀 예상생산량을 보면 전남이 74만7000톤으로 가장 많다. 이어 충남 71만4000톤, 전북 60만6000톤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