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대한암학회가 동물용 구충제 ‘펜벤다졸’을 암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28일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항암제를 포함한 모든 의약품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안전하고 효과가 있는지 입증해야하지만 ‘펜벤다졸’의 항암효과는 사람이 아닌 세포와 동물을 대상으로만 입증됐다.
항암제는 개발과정에서 일부 환자에게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더라도 최종 임상시험 결과에서 실패한 사례가 있으므로 한두 명에서 효과가 나타난 것을 약효가 입증되었다고 볼 수는 없다는게 식약처의 논리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구충‘ 효과를 나타내는 낮은 용량에서는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나, 항암효과를 위해서는 고용량, 장기간 투여하여야 하므로 혈액, 신경, 간 등에 심각한 손상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항암제와 함께 구충제를 복용하는 경우 항암제와 구충제 간의 약물상호작용으로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상호작용은 여러 약물을 함께 복용 시 복용하는 약물 간에 서로 영향을 주어 체내에서 약물 농도를 높여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거나, 반대로 농도를 낮추어 기대하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이다.
그러면서 유튜브 등에서 제기되고 있는 주장과 관련한 입장도 표명했다.
항암제로서 효과기 있다는 주장에는 “‘펜벤다졸’은 최근까지도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결과는 없으며, 오히려 간 종양을 촉진시킨다는 동물실험 결과 등 상반된 보고도 있었다”라고 말했다.
40년이상 사용돼 안전한 약이라는 주장에는 “40년 이상 사용된 대상은 동물(개)이며, 사람에게는 처방하여 사용한 적이 없으므로 사람이 사용할 때의 안전성은 보장할 수 없다”라고 밝혔다.
체내 흡수율이 20%정도로 낮아서 안전하다는 주장에는 “흡수율이 낮은 항암제는 효과도 적을 가능성이 높아 고용량을 복용해야 하는 경우 용량 증가에 따라 독성이 증가하게 된다”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SNS 등을 통해 펜벤다졸이 항암효과가 있다는 내용이 번지고 있는데, 이는 세포와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일뿐, 사람에 대한 효과는 입증된 바 없다는 것이다.
펜벤다졸은 암세포의 골격을 만드는 세포 내 기관을 억제해 항암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이미 의약품으로 허가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비노렐빈 등도 같은 효과를 낸다. 또 펜벤다졸이 동물실험에서 간 종양을 촉진한다는 상반된 결과가 나오기도 해 항암효과에 대해 좀 더 지켜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