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뉴시스가 NHK 등 일본 매체들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이날을 기해 일본 헌정 사상 최장수 총리에 올랐다. 그는 "초심으로 돌아가 정책 과제에 임하겠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하지만 그는 이날도 총리 주재 모임에 지역구 지지자들을 대거 불러 사유화 논란이 일고 있는 ‘벚꽃 스캔들’ 해명에 진땀을 흘려야했다.
아베 총리는 이날 참의원 본회의에서 ‘벚꽃을 보는 모임’ 초대자 선정에 대해 “내 사무소가 내각관방의 추천 의뢰를 받아 참가 희망자를 모집해 왔다. 나 자신도 사무소로부터 상담을 받으면 의견을 말하는 일도 있었다”고 관여를 인정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초대자 약 1만5000명 가운데 아베 총리 추천 몫이 1000명이라고 밝혔다고 아사히신문이 전했다. 또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장관과 스가 관방장관, 관방부장관 몫이 약 1000명, 자민당 관계자 추천이 약 6000명이라고 했다. 초대자의 절반 이상이 사실상 아베 내각과 자민당 몫인 것이다. 아베 총리의 부인 아키에 여사가 초대자를 추천한 사실도 드러났다.
또 자민당은 지난 7월 참의원 선거에 다시 선출되는 소속 의원들에게 ‘벚꽃을 보는 모임’에 4팀까지 초대할 수 있는 안내장을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두고 7월 참의원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정부 돈으로 지역구를 관리했다는 의혹이 지적이 나왔다.
입헌민주당 아즈미 준 국회대책위원장은 “초심을 잊었으니까 ‘벚꽃을 보는 모임’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하는 상황이 되고, 살얼음이 깨져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행정부를 주관하는 최고 권력자가 의혹을 받고 있는 가운데 헌정사상 최장의 날을 맞은 것은 아이러니이자 매우 유감”이라고 했다. 국민민주당 다마키 유지로 대표는 “‘벚꽃을 보는 모임’에서 나타나듯 권력의 사유화 등 장기 정권의 오만과 해이라는 폐해가 나오고 있다”고 비판했다.
벚꽃을 보는 모임은 각계의 공적·공로가 있는 인물을 초대해 위로한다는 취지로 1952년부터 벚꽃이 만개하는 4월 도쿄 소재 정원인 신주쿠교엔(新宿御苑)에서 일본 총리가 주최하는 행사다. 이 행사는 공금으로 치러지는 행사로서 올해 5500만엔(약 5억9천328만원)이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는 최근 비판이 거세지자 2020년에는 이 행사를 열지 않겠다고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