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교 1학년이 치르는 2022학년도 대입부터 서울 주요대 16곳의 수능 위주 정시 선발 비중이 40% 이상으로 확대된다. 또 불공정 논란을 빚은 학생부종합(학종)전형의 공정성 강화를 위해 2022학년도부터 교사추천서 폐지, 2024학년도부터 정규교육과정 외 수상경력, 개인 봉사활동 실적, 자율동아리, 독서 등의 활동을 적는 비교과 활동은 대입에 반영되지 않고, 학생부 자기소개서도 폐지된다.
교육부는 28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학종과 논술 위주전형 모집인원이 전체의 45% 이상을 차지하는 서울 소재 16개 대학의 수능 위주 정시 전형을 2023학년도까지 4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해당 대학은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서울대, 서울여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숭실대, 연세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다. 이들 16개 대학이 수능 위주 정시전형을 40%까지 늘릴 경우 정시 모집인원은 2021학년도 기준 1만4,787명에서 2만412명으로 5,625명(38%)이 늘어나게 된다.
이는 공정성 논란을 빚은 학종 평가기준 등도 대학이 사전에 공개해서 투명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현재 초교 4학년이 대학 입시를 치르는 2028학년도부터 고교학점제 등 신교육정책을 반영한 새로운 수능 체계를 마련해 시행할 방침이다.
아울러 저소득층·장애인 등 사회적배려대상자의 고등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가칭 사회통합전형도 신설해 법제화한다. 사회적배려대상자 선발을 10% 이상 의무화하고 지역 균형 선발은 수도권대학을 대상으로 10% 이상 선발하되 교과성적 위주로 뽑도록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