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이 어제(9일) 오후 11시50분 숙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
사단법인 대우세계경영연구회는 10일 김 전 회장이 수원 아주대병원에서 가족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영면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세계경영 신화'의 몰락 이후 주로 베트남에서 지내던 김 전 회장은 지난해 말 건강이 급속도로 악화돼 귀국한 뒤 지난 1년여 동안 입원을 거듭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회장은 기억력이 서서히 감퇴하는 알츠하이머 증세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으며, 평소 뜻에 따라 연명 치료는 받지 않았다고 한다.
1936년 대구 출생인 김 전 회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인으로 추앙받다 환위기 직후 부도덕한 경영인으로 내몰리기등 파란만장한 일생을 살았다. 그가 일군 대우그룹은 한때 현대그룹에 이어 자산규모 기준 2위에 올랐으나 1999년 과다한 부채와 유동성 부족으로 해체됐다.
김 전 회장은 한국전쟁으로 부친이 납북된 이후 서울로 올라와 당시 명문 학교인 경기중과 경기고를 거쳐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66년까지 섬유회사인 한성실업에서 일하다 만 30세인 1967년 자본금 500만원, 직원 5명으로 대우실업을 창업했다.
45세 때인 1981년 대우그룹 회장에 오른 이후 세계경영을 기치로 내걸고 그룹을 확장해 1999년 그룹 해체 직전까지 자산규모 기준으로 현대에 이어 국내 2위로 일군 대표적인 1세대 기업인이다.
1990년대 해외시장 개척에 주력해 '신흥국 출신 최대의 다국적기업'으로 대우를 성장시켰다. 이를 통해 그는 대우그룹을 1999년 해체 직전까지 국내에서 자산규모 기준으로 현대에 이어 2위의 그룹으로 키워냈다. 1998년 대우의 수출액은 186억달러로 당시 한국 수출총액 1천323억달러 중 약 14%를 차지하기도 했다. 고인은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는 유명한 저서를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공격적인 확장 전략은 1990년대 말 외환위기 상황에선 독이 됐다. 모든 기업이 허리띠를 졸라매던 1999년 쌍용자동차를 인수했고, 이는 몰락의 도화선이 됐다. 부채로 외형을 불려나가는 방식이 자금난에 봉착하며 한계에 달했다. 그룹 전체가 유동성 위기를 겪었고, 당시 GM과의 마지막 협상,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의 빅딜이 모두 실패하면서 대우그룹은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놓였다.
당시 41개 계열사와 600여개의 해외법인·지사망을 구축했던 대우그룹은 41개 계열사를 4개 업종, 10개 회사로 줄인다는 내용의 구조조정 방안을 발표하면서 반전을 시도했지만 끝내 위기를 극복하지 못한 채 1999년 8월 모든 계열사가 워크아웃 대상이 되면서 해체됐다.
그해 10월 중국으로 도피한 김 전 회장은 41조원의 분식회계를 지시하고 이를 통해 10조원 가까운 사기대출을 받은 사실이 드러나자 귀국하지 못하고 해외를 떠돌다 2005년 귀국해 항소심에서 징역 8년6개월에 추징금 17조9253억원을 선고받아 대법원에서 확정됐다. 김 전 회장은 2008년 특별사면을 받았지만 추징금은 아직 그대로 남아 있다.
김 전 회장은 그룹 해체 이후 과거 자신이 시장을 개척한 베트남을 '제2의 고향'으로 삼아 머물며 동남아에서 인재양성 사업인 '글로벌 청년 사업가(GYBM. Global Young Business Manager)' 프로그램에 주력해 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회장이 공개 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던 것은 지난해 3월 22일 열린 '대우 창업 51주년' 기념행사가 마지막이다.
대우 관계자는 김 전 회장이 "청년들의 해외진출을 돕는 GYBM 교육사업의 발전적 계승과 함께 연수생들이 현지 취업을 넘어 창업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체계화해줄 것"을 유지로 남겼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