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서 발생한 원인불명의 폐렴으로 중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관찰자망(觀察者網) 등 현지 언론은 6일(현지시간) 전날 오전까지 중국 우한에서는 원인 불명의 폐렴 환자가 59명으로 급증했으며, 이 가운데 7명이 중태에 빠졌다고 전했다.
중국 당국은 현재 밀접 접촉자 163명에 대해 추적 조사중이며 중국 위생 당국과 세계보건기구(WHO)는 병원체 확인을 위해 균 배양 작업에 돌입했다. 그러나 최종 병명 확인에는 1~2주일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코 앞으로 다가온 춘제(春節·중국의 설) 대이동 때 대량 확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 당국은 우한에서 발생한 폐렴이 사스(SARS·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조류 인플루엔자 등은 아니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중국의 사회 통제 시스템을 고려할 때 WHO에서 최종 병명 확인이 나올 때까지 알 수 없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중국 정부가 한국 측에도 어제 사스나 메르스가 아니라고 밝혀왔다"면서 "병원균이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중증 환자 수가 감소하고 현재까지 사망 환자가 없다는 것은 안심할만한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균 배양 검사 결과가 1월 중순, 즉 춘제 전에 나오지 않을까 싶다"면서 "중국 정부 또한 춘제 전에 병명을 확정해야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우한 한국총영사관은 한국 질병관리본부 자료 등을 공지하면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현재 후베이성에는 2000명, 우한에는 1000명의 교민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런 가운데 우한을 다녀왔다가 발열, 폐렴 등의 증상을 보이는 홍콩인들의 수 또한 계속 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최근 14일 이내 우한을 다녀왔다가 발열, 호흡기 감염, 폐렴 등의 의심증세를 보이는 환자가 전날 추가로 8명 확인됐다고 홍콩 보건 당국은 밝혔다.
이로써 우한을 다녀왔다가 병세를 보여 격리 조처된 홍콩인의 수는 총 21명으로 증가했다.
사태 확산에 따라 홍콩 보건 당국은 지난 4일부터 '심각' 단계로 대응 태세를 격상하고, 공항에 고열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를 추가 배치하는 등 관리 강화에 들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