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에 대해 군사력 사용을 원하지 않는다는 발언에 상승 마감했다.
시장정보업체 마켓워치에 따르면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61.41포인트(0.56%) 오른 28,745.0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은 15.87포인트(0.49%) 상승한 3,253.05, 나스닥은 60.66포인트(0.67%) 뛴 9,129.24에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은 장중 및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S&P 500 지수도 장중 고점을 다시 찍으며 전날(7일)과 다른 양상 보였다.
앞서 7일 이란은 군부 실세인 가셈 솔레이마니 쿠드스군 사령관이 미국의 폭격으로 사망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이라크 내 미군기지에 미사일 공격을 했다. 이에 미국이 군사적 맞대응을 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며 뉴욕증시가 하락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은 군사력 사용을 원치 않는다는 성명을 발표하며 뉴욕 금융시장은 다시금 안정세를 찾았고 나스닥지수는 장중가와 마감가 모두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다만 불안 요인도 있다.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는 “간밤에 우리는 미국의 뺨을 한 대 때렸을 뿐”이라며 “적(미국)에 맞서 이런 수준의 군사 행동은 충분하지 않다”는 등 추가 행동을 시사하는 발언을 내놨다. 증시 종료 직전에는 이라크 바그다드의 그린존이 또 포격 받았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주요 지수가 상승 폭을 빠르게 줄였다.
경제지표에서는 미국의 고용이 좋게 나왔다. ADP 전미 고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민간 부문 고용 증가는 20만2,000명을 기록했다. 11월에 6만7,000명으로 둔화했던 데서 큰 폭 늘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 15만 명도 웃돌았다.
미국과 이란의 무력충돌 우려가 일단 잦아들면서 국제유가가 급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2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배럴당 4.9%(3.09달러) 하락한 59.6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3월물 브렌트유는 배럴당 3.60%(2.46달러) 하락한 65.81달러에 거래됐다.
금값도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2월 인도분 금은 전날보다 온스당 0.9%(14.10달러) 내린 1,560.2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그동안 오름세를 이어왔던 금값이 약세를 보인 것은 11거래일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