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에 대한 군사적 대응 대신 경제 제재를 택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살인적인 제재'를 경고한 지 하루 만에 본격적인 제재 확대에 나섰다.
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조금 전 재무부와 함께 제재 확대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완료됐다. 제재가 매우 가혹했지만 이제는 그 양도 상당히 증가했다"고 말했다. 다만, 새로운 제재가 어떤 내용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앞서 미국이 이란 군부 실세인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사살한 뒤 이란이 이라크 내 미군기지에 대한 미사일 공격으로 보복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군사력 대신 즉각적인 추가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 2015년 체결된 이란핵합의(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를 탈퇴한 2018년 5월부터 이란에 대해 '최대압박'(maximum pressure) 전략의 일환으로 교역ㆍ금융ㆍ물자 유입 등 이란 경제의 85% 이상에 고강도 제재를 가해왔다. 이란의 원유 수출을 제한하는 조치가 대표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와 관련해 "미국이 기존의 대이란 무역·금융제재를 강화할 수 있다"며 "이란의 소비재 기업은 물론, 핵무기 부품 조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업체와 개인도 블랙리스트에 올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란의 재화·기계류 수입 등을 틀어막는 제재가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고 WSJ은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