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 [SHUUD.mn=뉴스21 통신.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이란에 대한 군사적 대응 대신 경제 제재를 택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살인적인 제재'를 경고한 지 하루 만에 본격적인 제재 확대에 나섰다.
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조금 전 재무부와 함께 제재 확대를 승인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완료됐다. 제재가 매우 가혹했지만 이제는 그 양도 상당히 증가했다"고 말했다. 다만, 새로운 제재가 어떤 내용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앞서 미국이 이란 군부 실세인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을 사살한 뒤 이란이 이라크 내 미군기지에 대한 미사일 공격으로 보복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군사력 대신 즉각적인 추가 제재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 2015년 체결된 이란핵합의(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를 탈퇴한 2018년 5월부터 이란에 대해 '최대압박'(maximum pressure) 전략의 일환으로 교역ㆍ금융ㆍ물자 유입 등 이란 경제의 85% 이상에 고강도 제재를 가해왔다. 이란의 원유 수출을 제한하는 조치가 대표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와 관련해 "미국이 기존의 대이란 무역·금융제재를 강화할 수 있다"며 "이란의 소비재 기업은 물론, 핵무기 부품 조달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업체와 개인도 블랙리스트에 올릴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이란의 재화·기계류 수입 등을 틀어막는 제재가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고 WSJ은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