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스캔들'로 촉발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탄핵심판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신에 대한 탄핵 심판을 조직이라고 비난했다.
21일(현지시간) 열린 첫번째 탄핵 심판은 민주당과 공화당이 탄핵 심판 규칙과 증인, 증거 채택 문제를 놓고 날선 공방을 벌이며 13시간만에 끝났다.
미국 상원의 과반을 차지하는 공화당은 핵심 증인 채택 등 민주당아 재출한 수정안 11개를 모두 거부했다. 또한 '우크라이나 스캔들'의 주요 참고인인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증인 채택도 공화당의 반대로 무산됐다.
이날 심판의 개정안은 모두 반대 53, 찬성 47로 부결됐다. 현재 상원은 공화당 53석, 민주당 45석, 무소속 2석으로 공화당이 다수다. 철저한 정파투표가 이뤄진 것이다.
민주당은 반발했다. 대통령 경선 후보이기도 한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은 트위터에 “그들이 진정 공정한 탄핵 심판을 원한다면 왜 증거를 숨기는 건가?”라고 썼다.
탄핵심판의 주인공인 트럼프 대통령은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참석을 위해 미국을 떠나 있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WEF가 끝난 후 기자회견을 열어 "탄핵 심판은 사기(hoax)"라며 "미국에 매우 나쁜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또한 탄핵 심판에 직접 출석하는 것에 대해서도 "당연히 앞줄에 앉아 부패한 (민주당 의원들의) 얼굴을 보고 싶다"라며 "하지만 나의 변호인단이 곤란해질 것"이라고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나의 지지율은 역대 최고"라고 강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의 군사원조를 대가로 내세워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의 아들의 비리 혐의에 대한 수사를 요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하원을 장악하고 있는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이 권한을 남용해 대선에 개입한 것이라면서 탄핵 소추안을 가결해 상원에 넘겼다. 그러나 상원은 집권당인 공화당이 과반을 차지하고 있어 탄핵이 최종 가결될 가능성은 희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