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마스크 수요가 급증하자 품귀 현상이 벌어지며 가격이 치솟고 있다. 그러나 공급량이 부족해 마스크를 구하기 힘든 상황이다.
2일 관련업계 등에 따르면 이런 마스크 품귀 현상과 가격 폭등의 요인 중 하나로 중국인 관광객이나 이른바 '보따리상'의 대량 구매가 지목되고 있다.
신종코로나 감염증 발원지인 중국 내에서 마스크 수요 대응이 불가능해지자, 한국 등 다른 나라에 있는 중국인들이 '싹쓸이' 쇼핑으로 물량을 확보해서 중국으로 보내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것이다.
이같은 마스크 가격 급등은 중국인들의 대량 구매가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국내를 찾은 관광객이든 '보따리상'이든 편의점이나 약국 등에서 마스크를 몇 박스씩 구입하는 이가 늘어난 탓에 급속한 수요 증가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한다는 뜻이다.
중국인 관광객이 많은 서울 명동의 한 약국 관계자는 "중국인 관광객 1명이 400만∼500만원어치씩 사가기도 했다"며 "1박스에 900개 정도 들어 있는데 4∼5박스씩 사간 것"이라고 말했다. 명동의 또 다른 약국 관계자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설 연휴에 마스크를 죄다 사가서 남은 게 없다"고 했다.
일부 중국인들은 국내에서 구입한 마스크를 자국에서 되팔기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국 소셜미디어인 웨이보에는 "한국산 마스크를 판다"며 국내에서 2천원대에 거래되는 마스크를 약 1만6천원대에 판매하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중국인들이 소셜미디어에 찍어 올린 돈다발 사진을 두고 "요즘 한국에 거주하는 중국인들이 이렇게 마스크를 되팔아 번 돈을 인증하는 것이 유행", "마스크 공장에 중국인들이 돈다발을 들고 줄 서서 기다리고 있다", "중국인 때문에 마스크 가격이 뛰었다" 등 지적이 나왔다.
중국인들의 대량 구매에 따른 마스크 품귀 현상과 가격 상승은 한국뿐만 아니라 호주, 대만, 일본 등 세계 각국에서 벌어지고 있다.
대만에서는 마스크 품귀 현상이 벌어지자 지역 내 공장에서 하루 400만개 생산하는 마스크 전량을 지난달 31일부터 정부가 사들이는 방침을 내놨다. 일본에서는 중국인 관광객 때문에 마스크 품귀 현상이 벌어지자 도쿄의 한 약국이 1인당 1박스만 마스크를 구입할 수 있도록 제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