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매도시 베트남 칸호아성에 수해 복구 긴급 구호금 지원
울산시는 최근 기록적인 홍수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베트남 자매도시 칸호아성의 이재민들을 돕기 위해 긴급 구호금 2,000만 원을 지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지원 결정은 2002년 자매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칸호아성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외면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신속하게 결정됐다. 울산시가...
▲ [사진제공 = 기획재정부]정부가 신종코로나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직격탄을 맞은 항공업계를 위해 긴급지원 대책을 내놨다. 최대 3000억원 대출을 지원하고, 다음 달부터 석 달 동안 공항시설 사용료 납부도 미뤄준다. 또 중국 하늘길을 대체할 파리ㆍ포르투갈 등 유럽권 인기 노선에 대한 운수권을 이달 말 배분할 계획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7일 ‘코로나19 대응 경제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항공분야 긴급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대한항공ㆍ아시아나항공 등 국내 10개 항공사가 김현미 국토부 장관과의 만남에서 금융지원을 요청한 지 일주일 만이다.
최근 항공업계는 신종코로나 확산으로 경영 악화 위기에 놓여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중국 우한 폐쇄 이후 한국과 중국을 오가는 노선은 약 77% 감소했다. 뿐만 아니라 일본과 홍콩 등지에서 신종코로나 확진자가 늘면서 동남아 노선까지 위축되고 있다.
이용객 감소 흐름은 발병 3~4개월 후 여객 감소로 이어졌던 2003년 사스, 2015년 메르스 당시보다 속도가 빠르다는 게 국토부 설명이다. 최근 3주간 항공사 환불금액만 약 3000억원에 이른다.
우선 정부는 대출을 비롯해 공항시설 사용료 납부 감면, 수수료 할인 등을 단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대출은 일시적으로 유동성 부족을 겪는 항공사를 대상으로 대출심사 절차를 진행한다. 특히 저비용항공사(LCC)에는 최대 3000억원을 빌려준다.
또 지난해 동기 대비 여객이 감소한 항공사는 최대 3개월간 공항시설사용료에 대한 납부를 유예해준다. 상반기 중 항공 수요가 회복되지 않을 경우에는 6월부터 두 달 동안 착륙료 10% 감면도 더해진다.
지난 5일부터는 한국과 중국 간 운수권ㆍ슬롯 미사용분에 대한 회수 유예 조치를 진행 중이다. 항공법상 연간 20주 이상 운행하지 않으면 해당 노선 운수권을 회수해야 한다. 앞으로 여객 수요와 여행자제 지역에 따라 유예 대상 지역은 확대할 수 있다.
하늘길이 막힌 중국을 대체할 노선 확보도 지원한다. 이달 말 프랑스 파리, 헝가리, 포르투갈 등지 운수권을 배분할 계획이다. 중·단거리 경우에는 베트남 퀴논ㆍ라오스 팍세 등 항공사의 미취항 도시 노선 신설도 지원할 예정이다.
국토부 김현미 장관은 “항공은 국가 간 인적ㆍ물적 이동의 핵심수단인 만큼 국제적 감염병이 발생하면 가장 먼저 직견탄을 맞는 분야”라며 “유동성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긴급 자금과 함께 항공수요 조기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대책으로 내놨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