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마스크 생산량의 50%를 공적 판매처에서 판매하기로 한 이후로도 마스크를 구하기 힘든 현 상황을 타계하기 위해 편의점도 공적 판매처에 포함시키는 방안은 적극 검토중이다.
2일 정부 및 편의점업계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번 주 중 관련 업체들과 협의 후 공적 판매처에 편의점을 포함시키는 내용이 포함한 추가 마스크 수급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는 앞서 코로나19의 지역사회 확산으로 마스크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 국민을 위해 지난 달 26일부터 마스크 긴급 수급 조정조치를 발동했다. 마스크 하루 생산량의 50%를 공적 판매처를 통해 판매하도록 했고, 총 생산량의 10% 이내로만 수출하도록 한 것이다.
조치가 발동된 이후 대구·경북 지역을 시작으로, 서울·경기 등 전국 우체국과 하나로마트 매장, 공영홈쇼핑 등에서 마스크를 판매하고 있다.
하지만 배송 등 유통 문제와 함께 지속적인 수요 증가로 공적 판매처에서 마저도 마스크 구매는 쉽지 않았다. 마스크를 사기 위해 판매 개시 시간 3시간 전부터 줄을 길게 서야 하고, 줄을 서도 10여분 만에 마스크가 동이 나서 발길을 돌리는 경우도 많았다.
이에 정부는 소비자 접근성이 좋은 편의점을 공적 판매처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편의점업계 역시 마스크 공적 판매처로 편의점을 포함시켜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전국편의점주협의회는 “접근성이 가장 뛰어난 유통망인 동시에 상비약 판매 등 일정 부분 공적 기능을 하는 편의점을 제외한 조치는 소비자의 안정적인 마스크 수급을 위한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편의점 업계 관계자는 “지난 달 26일 예정됐던 식약처와의 회의가 취소된 후 추가 연락을 받은 적은 없다”면서도 “이번 주 중 추가 대책을 논의할 때 편의점도 공적 판매처에 포함될지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